경제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말하는..
'기회손실비용'이라는 용어가 나오는데..
정확한 개념을 예를 들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것을 예를 들면..
만약 1000만원의 현금을 들고 있는데..이를 주식이나 예금등 투자처에 투자하지 않고 그대로 현금으로 들고 있다면
이 또한 기회손실비용이 지출되었다고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회손실비용은 기회비용이라고 하는데 어떤 선택을 하게 되는 경우 다른 선택을 하지 못해서 입게 되는 가장 큰 손실을 말하는 것이에요. 1000만원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주식으로 3%의 수익을 예금으로 2%의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면 현금을 소지하여 발생한 기회비용은 주식으로 얻게되었을 3%의 수익이라고 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아무래도 1천만원은
그대로 현금으로 들고 있다면
투자하지 않음으로써 손실이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어
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기회 손실 비용(Opportunity cost)은 어떤 선택을 할 때, 그 선택으로 인해 포기한 대안의 비용을 말합니다.
즉, 어떤 선택을 하면서 발생한 기회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금 1,000만원을 가지고 있을 때, 이를 예금이나 주식 등의 투자에 활용하지 않고 그대로 현금으로 보유하면, 이는 현금 자산의 기회 비용이 발생한 것입니다.
만약 예금이나 주식 등에 투자했다면, 이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기회 비용은 어떤 선택을 하면서 발생한 대안의 비용으로, 이를 고려하지 않고 선택을 한다면, 그 선택이 옳은 선택인지에 대한 판단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