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별자리를 보면 유난히 여름보다 빛나는 이유가 있나요?
겨울 시골에 가면 별자리가 유난히 빛이 나고 많이 보입니다.
여름보다 더 빛이 납니다.
그런이유가 무엇인지요?
그리고 별똥별이 예전에 많이 보였는데 지금은 덜보이는 이유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에 별자리가 더 뚜렷하게 보이는 이유는 기온이 내려가면 대기가 더 투명해지기 때문입니다. 대기의 기온이 올라가면 습도가 높아지고 수증기가 빛을 반사하는 산란작용을 하기 때문에 별의 관측을 방해합니다. 하지만 겨울철의 차가운 공기는 건조해져서 빛의 산란작용이 감소하기 때문에 별이 더 반짝반짝 빛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의 대기가 여름의 대기보다 수증기나 먼지가 적기 때문입니다.
겨울에는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는데 시베리아 기단의 가장 큰 특징이 건조함입니다. 때문에 밤하늘의 시상이 좋고 별의 관측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별 빛 또한 더욱 밝게 보이는 것입니다.
그리고 별똥별이 덜 보이는 이유는 주변이 너무 밝기 때문입니다.
별똥별이 대기를 지나며 연소하며 밝은 빛을 낸다고는 하지만 밝은 주변환경에 상당수의 별똥별은 빛이 묻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 날씨가 차고 건조할수록 대기가 투명해지기 때문에 별자리가 잘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또한 겨울철 대표 별자리 중 큰개자리(시리우스)는 태양을 빼고 우리가 맨눈으로 하늘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별로, 북극성보다 더 밝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 보다 겨울 별자리가 더 빛난다는 과학적 근거는 없으나
아마도 겨울날씨가 추워서 공기가 좋아 더 밝게보이는게.아닐까요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별자리가 계절에 마다 달라집니다.
지구의 위치와 별자리의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겨울과 여름의 별자리가 다르기 때문에
겨울에 잘 보이는 별자리가 있고 여름에 잘 보이는 별자리가 있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별자리의 위치가 달라지고 날씨가 차고 건조할수록 대기가 투명해지기 때문에 겨울에 별을 보기 더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수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대기에 습도가 낮아 빛의 산란 흡수, 반사가 낮아 더 밝은 별빛이 눈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물론 요즘은 중국에서 미세먼지가 많이 날아오기 때문에 중국화력발전소 가동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