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22.12.10

입김은 왜 부는 방법에 따라서 온도가 다른 건가요?

입술을 모아서 입김을 부는 것과 입을 벌려서 입김을 부는 것은 입의 모양만 다를 뿐인데

나오는 입김의 온도가 전혀 다르게 느껴집니다

왜 입모양만 다를 뿐인데 온도가 다르게 느껴지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22.12.11

    같은 힘으로 입김을 밀어내는 경우, 좁은 입구라면 유체의 속도는 빨라질 것이고,

    넓은 입구라면 유체의 속도가 느려질 것입니다.

    즉, 입김이 빠르거나 느림으로써 온도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입을 모아서 입김을 불면 불어낸 입김이 주변 공기를 더 많이 밀어내는데 이 때 입김의 에너지가 소모되면서 온도가 내려갑니다. 반대로 입을 크게 벌리면 그만큼 밀어내는 주변 공기량이 작고 뺏기는 에너지가 작습니다. 그래서 온도 변화가 적은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입을 모아서 바람을 불게되면, 바람이 빨리 나오게되죠. 즉, 바람이 쌔지기에 상대적으로 차가운 바람으로 느끼는 거랍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입김의 온도는 같습니다. 다만 말씀하신 상황에서는 입김의 속도가 달라서 온도도 다르게 느껴지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하'할 때는 입속의 따뜻한 체온이 전달되고, '후'하고 불 때는 압력차로 바람을 일으켜서 공기의 차가운 기온이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입김은 입을 많이 오므리고 불수록 입김이 많이 나오죠

    이는 입을 많이 벌리면 열이 많이 뺏겨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혁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입김온도가 궁금하셨군요.


    입모양에 따른 입김의 압력차에 의해 생긴 온도차가 발생해서입니다.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가면 공기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내려가는데, 이를 단열 팽창이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