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떳떳한돼지172
떳떳한돼지17222.07.08

급여와 별도로 추가 소득이 생길 경우 세금부담이 얼마나 될까요?

연봉 6,500 급여생활자 입니다.

급여와 별도로 장기 아르바이트를 통해 월 150~200 추가 소득이 생길 경우 추가 세금부담이 얼마나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

    장기 아르바이트 소득이 사업소득으로 분류되는 경우(소득의 3.3%가 원천징수되는 경우)에는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2,400만원 미만인 경우(신규사업자는 당해 과세기간 소득이 7,500만원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단순경비율이 적용됩니다.

    사업소득은 소득에서 필요경비를 차감한 금액을 사업소득금액으로 하여 근로소득금액과 합산하여 각종 공제를 적용하여 산출한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에 아래 세율을 적용하므로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추가 납부하는 세액이 달라집니다.

    예를들면, 아르바이트 소득이 연 2천만원이라고 가정할 때 업종코드 940909의 단순경비율 64.1%를 적용하면 사업소득금액이 718만원[=2천만원(1-64.1%)]됩니다. 사업소득금액과 근로소득금액을 합산하여 산출한 과세표준의 구간이 4,600만원~8,800만원인 경우라면 사업소득으로 추가로 계산되는 세액이 1,723,200원(=718만원×24%, 지방소득세 별도)이 되고, 원천징수세액을 고려하면 1,123,200원(=1,723,200원-2천만원×3%, 지방소득세 별도)을 추가로 납부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아래의 종합소득세율표를 보시면 4,600만원 ~ 8,800만원의 종합소득세율은 24%(지방세 포함 26.4%)구간입니다. 따라서 현재 급여에서 월 150~200만원의 추가소득이 발생하더라도 종합소득공제 등을 적용할 경우, 24%구간은 동일한 것입니다.

    따라서 대략적으로 추가되는 소득 x 26.4%만큼 추가세금이 발생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