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대범한대벌래6
대범한대벌래6
23.05.05

비파괴검사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요?

철판 용접 후에 용접이 잘 되있는지 아니면 결함이 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비파괴검사를 실시한다고 하는데 비파괴 검사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23.05.05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파괴 검사는 그 이름 그대로 제품을 파괴하지 않고 재질, 성능, 상태, 결함의 유무 확인 등의 검사를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우리도 비파괴검사를 자주 받는데요, 대표적인 것이 X-RAY를 이용한 것이며 비파괴 검사 역시 이와 원리는 비슷합니다.

    말씀하신 용점 이후에는 방사선 투과법(RT), 초음파 탐상법(UT), 자분탐상법(MT), 침투 탐상법(PT) 등을 이용 용접 후의 제품의 상태를 분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비파괴 검사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초음파 검사입니다. 이 방법은 음파를 이용하여 용접 부위에서 반사되는 소리의 시간과 강도를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결함이나 구멍이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촬영검사는 용접 부위에 X선, 감마선 등 고에너지 선을 쬐어서 물질 내부의 결함, 미세한 균열, 이물질 등을 촬영하여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암호와 유사한 흑백 이미지를 통해 검사결과를 판단합니다. 또한, 자기입도검사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용접 부위에 납땜 등 결함이 있는 부분을 자기화 시킨 후 자석 분말을 뿌려서 결함 부분을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용접 부위에 자석을 겹쳐서 자기장을 형성한 후 자석 분말을 뿌리면 결함 부분에서만 분말이 끌려서 모양이 나타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