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의 나오는 아비뇽 유수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인가요
세계사를 공부하다보면 아비뇽의 유수란 말이 나오는데 아비뇽은 지명입니까 사람 이름입니까. 아비뇽의 교수의 내용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환권이 쇠퇴하고 황제권이 강화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으로 프랑스의 필리프 4세는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와 대립, 그는 삼부회를 소집하여 지지를 받고 교황에게 도전하여 승리합니다. 교황은 패배 직후 사망했고 그 뒤 프랑스 인이 계승하였으며 교황청을 아비뇽에 두었습니다.
교황들이 아비뇽에 거주한 약 70년 프랑스 왕의 영향 속에 프랑스에 의존하는 형편이었고 그 뒤 로마와 아비뇽에 두명의 교황이 분립하는 교회의 대분열로 이어지며 교황권은 더욱 쇠약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비뇽은 프랑스 지명 입니다. 14세기 당시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해 있던 서방교회의 교황청을 신성 로마 제국이 강제적으로 프랑스 남부 아비뇽으로 옮겨 1309년부터 1377년까지 머무르게 한 사건을 말하는데 고대 유대인의 바빌론 유수에 빗대어 쓰인 표현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교황권이 쇠퇴하고 황제권이 강화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프랑스의 필리프 4세는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와 대립하였다. 그는 삼부회를 소집하여 지지를 받고, 교황에게 도전하여 승리하였다. 교황은 패배 직후 사망하였고, 그 뒤 프랑스 인이 계승하였으며, 교황청을 아비뇽에 두었다. 교황들이 아비뇽에 거주한 약 70년 간을 교황의 아비뇽 유수(1309~1377)라고 부른다. 이리하여 교황권은 크게 약화되었으며, 아비뇽의 교황들은 프랑스 왕의 영향 속에서 프랑스에 의존하는 형편이었다. 그 뒤 로마와 아비뇽에 두 명의 교황이 분립하는 교회의 대분열(1378~1417)로 이어지면서 교황권을 더욱 쇠약해졌다.
출처 :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