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속이 텅빈 쇠공을 물에 띄우면 뜰까요?

물에 가라앉는 고무도 속이 텅빈 공으로 만들면 물에 뜨는것처럼 과연 고무보다 무거운 철로 만든 속이 텅빈 공을 만들면 고무공처럼 물에 뜰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에의한 부력이 철이받는 무게보다 크다면 떠오르게됩니다. 부력이 작을만큼 공의 크기가 작으면 가라앉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해당 공 안에 빈공간 부피가 얼마나 되냐 / 또 쇠구슬의 무게가 어느정도냐에 따라 뜰지 말지 달라진답니다. 고무는 애초에 무게가 작기때문에 밀도가 작아서 뜨는거랍니다.

      즉, 쇠구슬의 무게에 따라 뜰지 말지 달라지는데, 아마 대부분의 쇠 정도면 뜨기 어려울 거에요. 밀도가 그만큼 작지 않거든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잠수함이나 대형 배들은 모두 철로 되어 있습니다. 물에 뜨느냐 가라앉느냐는 물체의 무게에 비례하여 부력이 물속에서의 중력보다 크면 물에 뜨게 되고 작으면 가라앉게 됩니다. 쇠공 안에 쇠공의 무게만큼 중력을 이길수 있는 양의 부력을 낼수있는 공기가 들어 있으면 뜰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가라 앉습니다. 잠수함도 잠수하기 위해 밸러스트 탱크에 바닷물을 빨아들여서 부력을 낮추면서 잠수 합니다. 같은 원리로 보시면 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배가 뜨는 원리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속이빈 공의 크기가 커져 부력이 커지면 물에 뜨게되죠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텅빈 쇠공의 밀도가 물보다 작아질 경우 뜰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원리가 배입니다. 배는 철, 쇠로 이루어져 있지만 물에 뜨죠. 이유는 내부의 공기가차있는 공간이 있어 물보다 밀도를 낮춰 뜨는 것입니다.

    • 가라앉지 않습니다.

      얼마나 텅 비어있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텅 비어있다는 것은 쇠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 실험 영상을 첨부 드립니다.

      https://www.goodgag.net/239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