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고급스런가마우지209
고급스런가마우지20921.07.29

얀센백신 1회 접종자 입니다. 추가 접종 필요한가요?

매스컴이나 인터넷 뉴스에 보니 얀센백신이 코로나 델타 바이러스에 가장 취약하다고 하는데, 모더나 아니멸화이자 백신을 추가로 접종 해야 할까요?

아니면 똑같은 얀센팩신을 추가로 접종해야 하는건가요? 궁금 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 관련하여 문의주셨습니다.
    이제 막 개발 된 백신이며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효과가 얼마나 될지, 어떤 부작용이 나올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변종 코로나에 대한 추가적인 접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얀센도 추가접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아직까지 지침은 나와있지 않습니다.)
    특히 기존의 당단백질 백신이 아닌 mRNA 백신의 경우 기존에 우리가 맞던 독감과 같은 예방접종과 다르기 때문에 그 부작용이나 효과를 예측하기가 더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펜데믹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 접종 하는 것을 권합니다.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어도 상당기간 마스크 착용과 손씻는 것과 같은 예방수칙을 잘 지켜주셔야 할 것입니다.

    참고로 아래 자료는 임상실험이후 나타난 각 백신별 부작용입니다.
    기저질환자나 고령자의 경우 어떤 부작용이 더 나타날지에 대해서는 아직 데이터가 부족합니다. 참고하시고 경한 부작용이 있다면 타이레놀을 복용하시고, 증상이 심하시다면 접종하신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타이레놀 이외 다른 진통제는 백신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일부 보고가 있습니다.
    덧붙여 코로나 백신 접종 전에 NSAIDS계통 진통제나 스테로이드제를 드시는 경우 약물 조절이 필요하며, 이외의 약물이 백신 접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적습니다.

    ** 아스트로제네카
    -접종 부위 통증(84.1%)
    -피로감(62.9%)
    -두통(55.1%)
    -근육통(38.3%)
    -오한(31.9%)
    -관절통(23.6%)
    -발열(14.2%)
    -접종 부위 부기(10.5%)
    -접종 부위 발적(9.5%)
    -오심(1.1%)
    -권태감(0.5%)
    -임파선염(0.3%)

    ** 얀센
    -접종 부위 통증(92.0%)
    -피로감(70.0%)
    -두통(64.7%)
    -근육통(61.5%)
    -관절통(46.4%)
    -오한(45.4%)
    -오심/구토(23.0%)
    - 겨드랑이 부기 및 압통(19.8%)
    -발열(15.5%)
    -접종 부위 부종(14.7%)
    -접종 부위 홍반(10.0%)

    ** 화이자
    -접종 부위 압통(>60%)
    -접종 부위 통증, 두통, 피로감(>50%)
    -근육통, 권태감(>40%)
    -발열, 오한(>30%)
    -관절통, 오심(>20%)
    ​참고) 1차 접종과 비교하여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은 발생 빈도가 적고 더 경증으로 알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