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도 크기를 줄이면 블랙홀이 될 수 있나요
지구의 크기를 매우 작게 해서 밀도 높이면 지구도 블랙홀이 될 수 있나요 만약 가능하다면 어느 정도로 주셔야 하지만 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크기를 매우 작게 해서 밀도를 높이면 블랙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매우 어려운 일이며 현재로서는 불가능합니다. 지구의 질량을 충분히 줄여야 하며 그렇게 되면 지구의 자기장이나 태양과의 상호작용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가 블랙홀이 될 수 있는 크기는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블랙홀의 크기는 질량에 따라 달라지며 지구의 질량을 충분히 줄인다고 해도 블랙홀이 될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블랙홀의 형성에는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지구가 블랙홀이 될 수 있는 크기를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은 중성자 별이 되지 못한 항성이 진화의 최종단계에서 폭발 후 수축되어 생성된 것으로 추측되는,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다. 일반 상대성이론은 충분히 밀집된 질량이 시공을 뒤틀어 블랙홀을 형성할 수 있음을 예측한다.
블랙홀로부터의 탈출이 불가능해지는 경계를 사건의 지평선이라고 한다. 어떤 물체가 사건의 지평선을 넘어갈 경우, 그 물체에게는 파멸적 영향이 가해지겠지만, 바깥 관찰자에게는 속도가 점점 느려져 그 경계에 영원히 닿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블랙홀은 빛을 반사하지 않기에 이상적 흑체처럼 행동한다.
또한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에 따르면 사건의 지평선은 블랙홀의 질량에 반비례하는 온도를 가진 흑체 같은 스펙트럼의 열복사를 방출하며, 이를 호킹 복사라고 한다. 항성질량급 블랙홀의 경우 이 온도가 수십억분의 1 켈빈 수준이기에 그 열복사를 관측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은 매우 큰 질량을 가진 별이나 물체가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 중력이 극도로 강해져서 발생하는 천체입니다. 지구와 같은 작은 물체는 블랙홀이 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지구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가상의 상황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이는 고전 물리학의 범위를 넘어서는 양자역학 등의 더욱 복잡한 물리학적 현상이 개입하기 때문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랙홀이 되기 위하 조건은 매우 큰 질량을 가지는 별들이 마지막에 계속적으로 수축을하게 되면 작은 부피안에 태양질량의 수배 정도의 질량이 들어가게 되는데요 이것이 블랙홀입니다
태양정도의 질량이 지름 6km 정도로 수축해야 가능하다고 해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