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량과 강설량의 의미가 궁금해요
강설량이 얼마나 눈이 내려야지 강우량에 포함되나요?
예를들어 눈이 10cm가 오면,강우량에 얼마나 포함되나요?
독도의 연간강수량은 1300mm라고 노래에도 나와있잖아요.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우량은 안쓰며 강수량이란 말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강설량은 눈으로 내린 강수량을 말합니다. 즉, 강수량에는 눈, 비, 등 고체상과 액상으로 수분성의 총량이 되는 것이지요.
기상현상으로는 눈이나 비를 구분하지만 사실상 강수량으로 관측을 합니다.
강수량단위는 밀리미터(mm)로 쓰고, 적설의 단위는 센치미터(cm)로 쓰는데, 따로 강설량이라는 말은 기상청에서는 쓰지 않습니다.그러므로 눈이 10cm왔다는 것은 적설량이 10cm라는 것이고,
이 눈이 녹아 강수량으로 환산했을 때는 ㎜ 단위로 집계되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우량은 순수하게 비가 떨어진 양을 말하고
강설량은 순수하게 눈이 떨어진 양을 말합니다
강수량은 지표면에 떨어진 물의 양을 말하는것으로
눈, 비 우박 모두 포함입니다
안녕하세요. 지경향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우량과 강설량을 합친 것이 강수량입니다. 강설량은 눈, 강우량은 비만 측정한 것이고 합치면 강수량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엽 박사입니다.
눈과 비는 강수량의 두 가지 다른 형태이기 때문에 강설량은 일반적으로 강우량 측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강우량은 인치 또는 밀리미터로 측정되며 하늘에서 떨어지는 액체 상태의 물의 양을 의미하고 강설량은 인치 또는 센티미터로 측정되며 하늘에서 눈송이 형태로 떨어지는 얼어붙은 물의 양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눈을 녹이고 생성된 액체를 측정하여 강설량을 강우량으로 환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눈을 녹이고 그 결과 물을 모아 측정해야 합니다. 수집된 물의 양은 인치 또는 밀리미터로 표시되어 동등한 강우량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센티미터의 눈을 녹여 물을 모았다면 일정량의 강수량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강설량에 해당하는 정확한 강우량은 눈의 밀도와 눈이 녹는 온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형태의 강수는 일반적으로 별도로 취급되기 때문에 강우량 측정에 강설량을 포함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그러나 원하는 경우 강설량을 강우량으로 환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