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피부과

놀라운청설모147
놀라운청설모147

사랑니 뺀 후부터 그자리에 농이 차요

사랑니 뺀지는 5년 되었구요. 뺄 당시 마취를 두번 할 정도로 어렵게 뺏습니다. 뺀 이후부터 지금까지 잇몸을 누르면 노란 고름같은 농이 나옵니다. 냄새도 많이나구요... 하루3번 이 닦고 그부분은 더 신경써서 닦는데 아직 해결을 못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합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푸른하늘이
    푸른하늘이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사랑니를 발치하고 5년이 지난후에 해당 부위에 농이 찬다면 다른원인에 의한것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 치과병원에서 자세한 진료를 받아보시기를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사랑니 발치후 지속적으로 농이 찬다면 염증이 만성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치한 부분에 염증의 우려가 있기에 치간치솔등을 사용하셔서 뺀 부분에 살이 차오를때까지 음식물이 끼지 않도록 잘 관리하셔야 합니다.
    빠른 시일내 치과 내원하셔서 치료 받으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과를 가셔서 검사를 받아보시고, 필요시 항생제 처방 받으십시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사랑니 뺀지 5년이라면 건성발치와 등의 증상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 잇몸 질환에 의해서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다른 치아에 의한 염증성 반응으로 보입니다. 농이 나왔다는 것은 abscess이거나 치근단 주위염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치과 방문 후 정확한 검사와 함께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발치후 5년이 지났는데 계속 농이 나온것이라면, 발치부위의 염증 또는 그 주위치아의 염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위치아의 염증이라면 발치 또는 치주치료나 신경치료를 해야할 수 있습니다.

    발치부위의 염증이라면 부골화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만약 그렇다면 부골제거 후 재 치유를 유도해야합니다.

    정확한것은 발치한 치과에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실제 상태를 보지 않고 질문만으로 정확한 판단은 불가하나, 사랑니 발치를 하고 이미 5년이 지났다면 사랑니와 증상은 무관한 것으로 보입니다.

    잇몸에서 고름이 나는 경우라면 치주염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잇몸이 붓고 피가 나는 경우 잇몸 염증을 의심할 수 있으며, 재발과 치유가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면서 점차 치아 주변의 뼈(치조골)의 흡수까지 일어나는 치주염으로 진행되게 되며 이로 인해 잇몸이 내려가는 잇몸퇴축이 일어나게 됩니다.

    치주염이 중등도 이상으로 진행되게 되면 치아가 흔들릴 수 있습니다.

    잇몸 염증정도라면 주기적인 스케일링만으로 증상이 개선되며, 치주염으로 진행된 경우에는 잇몸치료가 동반됩니다. 잇몸치료라고 해서 내려간 잇몸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은 아니며, 치주염이 더 악화되어 더욱 심한 치조골의 흡수를 예방하고 치주염이 진행되는 속도를 늦추는 데 치료의 목적이 있습니다.

    치주염이 심하게 진행되어 뼈의 큰 소실이 있는 경우에는 발치를 고려하게 됩니다.

    철저한 구강위생 관리와 정기적인 스케일링, 건강한 식습관 등으로 치주염의 진행 속도를 어느정도 늦출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치과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