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비뇨의학과

모레도독특한고슴도치
모레도독특한고슴도치

미세혈뇨검사 도대체 어떤과로 가야하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40대
기저질환
없음
복용중인 약
없음

네이버 까페에 들어가보면 미세혈뇨에 관해 둘러보게 되는데요. 어떤 사람은 비뇨기과가서 검사 다 받았는데 이상없어서 지켜보자해서 지켜봤더니 나중에 신장암 진단받았다합니다 그래서 신장내과 가보라하는 댓글이 있고

어떤 사람은 신장내과 가서 이것저것 검사했는데 이상없다하여 안심하고 있었는데 나중에 방관암이었다라는 사람도 있어요. 유튜브 보면 비뇨기과랑 신장내과랑 겹치는 부분이 많아서 비뇨기과 검사 받을시 신장문제인거 같으면 신장내과 추천해주시고 신장내과에서 검사 받다가 여기는 아닌거 같다 하여 비뇨기과를 추천이나 인계해 주신데요. 근데 보통 비뇨기과를 먼저 가시라고 하던데..

도대체 환자 입장에선 혼란 스럽습니다. 앞에 사연들처럼 한 과 만 가게되서 암을 키울수 있으니 두군데 과 를 가야 하는건가요??? 제 지인은 미세 혈뇨랑 단백뇨 나와서 대학병원갔는데 씨티랑 소변 혈액 검사 하고 이상없다하여 괜찬나 보다 하고 살고있는데 왜 비뇨기과 연계는 안해주시는 걸까요?? 도대체 기준이 뭔지 알고 싶습니다.

더불어 어떤 병원은 방광내시경은 안하고 다른거 검사후 괜찬다고 하시고 어떤병원은 방광내시경을 권하고, 이것또한 기준이 어떤지가 궁금합니다

참고로 저는 여자이고 미세혈뇨 3~5개 나왔어요.

우선 비뇨기과 예약해 놓은 상태인데 신장내과도 또 따로 가야 하는건지요.

  • 1번 째 사진
  • 2번 째 사진
  • 3번 째 사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미세혈뇨가 나왔다면 신장내과 혹은 비뇨기과 둘 중 하나로 가시면 됩니다.

    많은 경우 비뇨기과를 가게 됩니다.

    두과를 모두 가실 필요는 없습니다.

    비뇨기과는 신장일부 요관 방광 요도 를 확인하며

    신장내과는 신장 을 확인합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

    비뇨의학과 및 신장내과가 서로 곂치는 부분이 있습니다.

    좀더 구분해서 보자면, 비뇨의학과는 수술하는 과이며, 신장내과는 수술까지는 하지는 않지요.

    내과적 평가와 더불어 약물적 치료 관련하여 더 특화가 된것이 내과라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이미 ct촬영을 포함한 혈액검사에서, 특별히 의심할만한 소견 없다면, 비뇨의학과에 내원해볼 필요는 없지요. 비뇨의학과에서 추가적으로 시행할 검사라면, 방광겸 검사 정도일것 같은데, 방광에 특별한 문제 소견이 없다면, 비뇨의학과 협진도 불필요하겠지요?

    즉 다시 정리해서 말하자면, 수술이 요하는 상태가 아니거나, 침습적 검사가 요하지 않는다면, 굳이 비뇨의학과를 동시에 반드시 보아야 하는 것은 아니란겁니다.

    검사상 해당과의 필요성이 있다면, 협진이 요하는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무조건적인 협진이 필요한것도 아니지요.

    미세혈뇨라고 해서 암의 가능성에 크게 초점을 둘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추적검사를 통해 호전유무를 파악할 수도 있는거구요.

    비뇨의학과에서 적절한 평가 잘 받으시면 될것으로 보입니다. 답변 도움되었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