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kbs이산가족찾기운동은 성공적이었나요?
남북전쟁의 부작용으로 수많은 이산가족이 탄생하였는데요. 이를 해소하기위해 국가차원의 이산가족찾기운동을 하였는데요 ...
과거 kbs이산가족찾기운동은 성공적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KBS의 이산가족찾기 방송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냉전이 개개인들에게 내면적으로 입힌 상처가 얼마나 깊은지를 본격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남북한의 이산가족 문제를 국제적 이슈로 부각시켰다. 유창순 대한적십자사 총재는“1천만 이산가족 문제의 해결을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조속히 남북적십자사 회담을 재개할 것”을 촉구하는 담화문(1983.7)을 발표했다. 전두환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1983.8)에서 “남북한 간의 이념과 제도가 다르다 하더라도 이산가족 문제해결은 더 이상 지연시킬 수 없다”고 강조했다. 레이건 미국대통령은 대한민국 국회 방문연설(1983.11)에서 KBS 이산가족찾기 방송의 성공을 언급하며 북한의 협조를 촉구하였다.
이런 노력의 결과, 이산가족찾기 방송 2년 후에 북한 대표단이 KBS를 방문(1985.5)했고 역사적인 남북한 이산가족의 최초상봉(1985.9)이 이루어졌다. 이후 2014년까지 남북한의 이산가족 총 18,523명이 상봉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이산가족찾기 방송 7년 뒤에는 한국전쟁의 당사자이자 공산권의 대부였던 소련과의 수교(1990.9)도 이루어졌다. 이듬해인 1991년에는 소련이 해체되고 냉전이 종식되었다. 이처럼 KBS의 이산가족찾기 방송은 국제 냉전질서의 극복과 남북한의 긴장완화에 기여했다.
출처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kbs의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프로그램의
의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전쟁이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되겠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전후 통일을 돕기 위해 대중 매체가 사용된 최초의 사례이며 한국 방송 중 가장 폭넓은 대중의 참여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었습니다. 이산가족 찾기 프로그램은 그 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냉전과 한국전쟁의 결과를 세계적으로 알렸으며, 대한민국의 비극적인 냉전 상황과 전쟁의 참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시 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혈육들이 재회하여 얼싸안고 울부짖는 장면은 이산가족의 아픔을 치유해 주었고, 이후 1985년 9월의 남북 이산가족 최초상봉의 촉매제 역할을 하며 한반도 긴장 완화에도 기여했다고 합니다. 또한, 더는 이와 같은 비극이 생겨나서는 안 된다는 평화의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달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방송기간동안 이산가족 5만여명이 여의도를 찾았는데 방송에서는 100,952건이 접수, 그 중 53,536건이 방송되었고 결과적으로 10,189 가족이 재회했습니다.
이전의 신문과 라디오를 통해 진행되었던 이산가족 상봉 시도와 비교하면 대단한 성과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 성공 이였습니다. 총 100,952건의 이산가족이 신청하고 53,536건이 방송에 소개되어 10,189건의 이산가족이 상봉하였다고 합니다. 상봉 성공률 19.03%는 이전의 신문과 라디오를 통한 이산가족찾기 운동의 미미한 실적에 비하면 대단한 성과였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KBS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는 1983년 6월 30일부터 방영을 시작하여 1983년 11월 14일자로 종영했습니다. 방송기간 동안 이산가족 5만여 명이 여의도를 찾았는데 방송에서는 100,952건이 접수되었습니다. 그 중 53,536건이 방송되었고, 10,189 가족이 재회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