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정직한멧토끼203
정직한멧토끼20321.10.09

코로나백신 비접종자가 접종자에게

정확히 어떤 피해를 준다는거죠? 백신접종자가 항체형성이 된다면 누구와 있던 방어기재를 가진다는건데 백신을 맞아도 감염을 두려워해야된다면 맞을 이유가 있나요? 오히려 비접종자가 감염자들에게 피해를 받으면받았지 백신접종이 끝나서 항체를 가진사람들에게 어떻게 피해를 줄수있다는건지 피해를 줄수있다는것 자체가 백신이 무용지물이란 뜻아닌가요? 여러연구결과 백신이 효과가 있다고 나온걸로 아는데 그럼 비접종자가 접종자에게 피해를줄 수 없다는뜻이고 그럴려고 백신맞는거자나요? 적어도 자기몸을 감염으로부터 지킬 수 있게되니까 그럴려고 맞는건데 비접종자에게 접종자가 피해를 받는다는 논리는 모순아닌가요? 비접종자에게 무임승차니 이기적이니 하는 말들이 논리적으로 이해가 안됩니다 누가 좀 알려주실분?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비접종자들이 많다면

    그만큼 코로나의 전파력이 높기 때문에

    코로나를 종식시키는데 불안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사회라는 것은 다같이 살아가는 공동체이기 때문에

    그러한 시대적인 규칙을 지켜야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접종하는 것은 본인의 선택입니다.

    다만 백신을 접종하면 감염예방률이 높아지므로 맞는게 좋긴 하지만,

    본인이 코로나에 감염이 안되게 생활하실수 있다면 안맞아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전파력이 강한 코로나바이러스를 예방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집단면역형성을 하려면 백신접종은 필수이기때문에 접종을 권장하긴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백신을 접종 하지 않은 경우 아무리 집단면역이 형성되더라도 코로나 백신 접종 하지 않은 사람끼리 서로 전염이 가능하며, 코로나 백신 접종한 경우에도 돌파 감염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최대한 백신 접종을 하여 코로나 19 감염의 기회를 줄이는 것이 안전을 위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0.10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 감염 후 생기는 폐의 손상은 시간이 지나도 복구가 어렵습니다. 소아에서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인공호흡기를 단 환아의 폐상태와 비슷한데 이런 손상된 폐는 아이가 자라 정상 폐조직이 자라서 증상이 완화되는 것이지 손상된 조직이 복구되어서가 아닙니다. 무증상자에게도 이러한 증상이 관찰되므로 반드시 백신접종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접종하여도 변이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접종 당시에 몸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돌파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비접종자에게 비말을 직접 눈코입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경우 상대방이 접종자여도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능하면 백신은 접종하여 최대한 예방을 하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 접종은 개인의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백신 미접종자에게 불이익이라고 생각되는 제약을 둘 수 밖에 없는 것은,

    미접종자로 인한 사회, 경제, 의료 손실이 크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감염증 발생시 백신 접종자는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경증인 반면에 미접종자에게는 중증 진행이 흔하게 발생하여 그에 따른 의료진에 대한 과부하 및 한정된 의료자원을 이용해야하는 중증이나 응급환자들에 기회를 뺏는 상황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중요한 감염원으로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때 제약을 두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의료행위를 결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득실을 따져보는 것입니다. 부작용이 없는 약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행위로 인한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때 그런 행위나 약물에 대해 권고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백신처럼 이렇게 단기간에 한꺼번에 수많은 사람들에게 접종되며 연구되어진 연구는 전무후무 할 것 같습니다. 접종건별 발생건수를 보면 상당히 드물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위험도 보다는 코로나에 걸려 중증으로 갈 확률이 훨씬 높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을 길게 다셔서 첨언합니다.

    370,000건 확진된 코비드 케이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미국 CDC 에 따르면,

    1. 호흡기 부전

    ARDS라고 하는 급성 호흡기 곤란 증후군이 코비드19 주요 합병증 중에 하나입니다. 한 연구에서는 138명 환자 중에 20%가 ARDS가 증상이 나타난 후 중간값 약 8일에 발생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그 중 절반 이상인 12.3%가 인공호흡기를 필요로 하였고 미국에서 한 대규모 연구에서는 12-24% 환자가 이러한 인공호흡기의 도움을 필요로 하였습니다. 이 비율은 실로 엄청난 비율입니다. 일반 감기나 독감으로 인공호흡기를 다는 일은 의료현장에서 극히 드뭅니다.

    Clinical Characteristics of 138 Hospitalized Patients With 2019 Novel Coronavirus-Infected Pneumonia in Wuhan, China.

    AU

    Wang D, Hu B, Hu C, Zhu F, Liu X, Zhang J, Wang B, Xiang H, Cheng Z, Xiong Y, Zhao Y, Li Y, Wang X, Peng Z

    SO

    JAMA. 2020;323(11):1061.

    Presenting Characteristics, Comorbidities, and Outcomes Among 5700 Patients Hospitalized With COVID-19 in the New York City Area.

    AU

    Richardson S, Hirsch JS, Narasimhan M, Crawford JM, McGinn T, Davidson KW, the Northwell COVID-19 Research Consortium, Barnaby DP, Becker LB, Chelico JD, Cohen SL, Cookingham J, Coppa K, Diefenbach MA, Dominello AJ, Duer-Hefele J, Falzon L, Gitlin J, Hajizadeh N, Harvin TG, Hirschwerk DA, Kim EJ, Kozel ZM, Marrast LM, Mogavero JN, Osorio GA, Qiu M, Zanos TP

    SO

    JAMA. 2020;323(20):2052.

    2. 혈전관련 합병증

    정맥혈전증, 폐동맥혈전증 등이 중환자실 등에 있는 중증환자들에게 흔하게 발생하였고 빈도는 10-40%에 달합니다. 동맥이 막히는 뇌졸증 등도 50세 미만에서 발생하기도 하였습니다. 백신만 혈전증의 위험성이 있는게 아니라 코비드19에 걸리면 응고 시스템의 장애가 생겨서 혈전관련 합병증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신경계 관련 합병증

    뇌병증이 흔하게 발생하며 특히 중증환자에서 잘 발생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입원환자 중 약 1/3이 발생하였다고 하며 이외 언급한 뇌졸중, 경련, 운동실조 장애등도 발생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2019년 통계 기준 모성사망률(발생건수가 아닙니다.)이 10명/100,000명입니다.

    돌파감염시 상당수 중증 혹은 입원율 자체를 저하시키고 있다고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어 위드 코로나로 정책을 선회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감염자체를 못 막더라도 여전히 백신은 유효합니다.

    코로나가 이미 판데믹인 상황에서 의료인의 입장에서 더 이상적인 해결책은 없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진성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까지 코로나 감염을 예방하고, 코로나를 종식시킬수 있는 것은 백신 접종을 통한 집단면역 획득입니다. 감염이 발생하더라도 유행하는걸 막을 수 있죠. 코로나 백신으로 인한 사망과 같은 일은 확률이 극히 낮습니다. 코로나 감염에 따른 심각한 증상을 예방하는데에는 백신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백신을 접종할지말지는 본인의 자유입니다.

    그러나 코로나백신을 접종하지 않았을때 감염확률이현저히 높고,

    만에하나 감염되어 잘못될 가능성도 있기때문에 접종하는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백신을 접종하여 집단면역이 형성되야 코로나가 끝납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은 접종하는 것을 꼭 추천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꼭 접종해야하냐고 물어보신다면 접종하는것을 권장합니다.

    백신접종을 통해 모든사람이 면역력이 어느정도 생기는 집단면역이 갖춰진다면

    코로나가 어느정도 종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접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좋은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민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신을 접종한다고 해서 100% 방어가되지 않습니다. 바이러스는 변이하기 쉽기에 어떻게든 돌파구를 찾을것입니다. 문제는 이러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상대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면역력이 약한 백신 미접종자에서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백신 접종자에서는 감염된다 하더라도 약한 증상만이 나타나고 치료도 쉽습니다. 백신 미접종자는 중증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돌연변이 바이러스가 주변으로 퍼지기 쉬운 상황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