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굳건한사슴벌레152
굳건한사슴벌레152

2차 아편 전쟁은 왜 2차 아편 전쟁인가요?

2차 아편 전쟁의 전개과정과 결과 등을 보았을때 아편과 큰 관계가 없었던 것 같은데 명칭이 2차 아편 전쟁으로 정해진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편 전쟁은 서구열강과 청나라의 무역적자를 해소하기 위하여 아편을 청나라에 팔아서 벌어진 전쟁입니다.

    아편의 매개체 지만 돈 때문인 것 입니다.

    2차역시 청나라에서 아편을 제조하여 판매하니 또다시 무역에 적자가 생겨 애로호 사건을 조작하여 전쟁을 벌여 중국의 항구를 더 열개 했던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은 제1차 아편전쟁의 승리로 개항과 무역 독점권을 얻었지만, 생각보다 큰 이익을 올리지 못했고, 더군다나 청이 아편을 몰래 자체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영국의 무역적자가 다시 시작되는 분위기 였습니다. 게다가 자유무역 덕분에 청의 차 수출량이 급증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처하게 되지요. 무언가 다시한번 영국은 청을 압박하려 기회를 보던 와중에

    마침 청 수군이 영국인 선주 소유의 청 선박 애로우(Arrow)호를 단속하였는데 소유주만 영국인이고 배의 인원들은 청나라 사람들이었고 해적으로 간주되었기에 단속자체는 청의 당연한 공무집행 이였습니다. 그러나 영국은 단속 과정에서 자신들의 자국 국기가 훼손되었다는 말도 안되는 이유로 전쟁을 선언하게 된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2차 아편전쟁(1856-1860)이였으며 애로우호에서 발단 되었다고 해서 애로우호 전쟁이라고도 하지요.

    간단히 말해 2차 아편 전쟁도 1차와 마찬가지로 같은 무역적자로 인한 전쟁이기에 2차 아편 전쟁으로 불리게 된거라 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은 청나라와의 교역에서 계속해서 손해를 보자 아편을 몰래 수출합니다.

    그래서 청나라에는 아편 중독자들이 많아지게 됐습니다. 이 일을 계기로 영국과 청나라는

    전쟁을 하고 그것이 아편전쟁입니다. 전쟁에서 영국이 승리하고 난징조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 후로도 교역에서 영국이 이익을 보지 못하고 있었고, 그러던 중에 '애로 호 사건'이 발생합니다.

    1856년 10월 8일 광주 앞 주강에 정박하고 있던 범선 '애로 호'에 중국 관헌이 올라가 중국인 승무원 12명을 해적 혐의로 연행했습니다.

    이 일을 계기로 2차 아편 전쟁이 발발하게 됩니다.

    2차 아편전쟁이 아편 밀수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지만 앞서 벌어진 1차 아편전쟁과 마찬가지로 무역 문제를 계기로 발발한 것이기 때문에

    2차 아편전쟁이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사실상 1차 아편전쟁과 연계되어 발발한 전쟁이었으므로 제2차 아편전쟁이라 이름을 붙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청나라는 이 두 번의 아편전쟁에서 다 패함으로써, 서서히 식민지화 되어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