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오랜만에 동네 목욕탕에 가서 묵은 때를 벗겼습니다.

코로나 영향도 있었지만 겨울에는 잘 가지 않았던 목욕탕을 모처럼 가서 묵은때를 씻었는데..

평일이라 한적하여 나름 탕 내에서 오랜시간동안 편안함과 피로를 풀었습니다.

그런데..혼자뿐인 탕이라 맑고 깨끄해서 그런지..제가 탕으로 들어서는 순간 저의 다리가 완전 숏다리로 보여집니다.

이상하다 싶어서..몇번을 들어갔다 나왔다를 반복했는데..똑같았습니다.

물속에 들어가면 원래 길이가 짧아지고 뚱뚱해보이나요? 왜 그런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물 속에서 물체는 실제로 짧아지고 뚱뚱해보입니다. 이것은 물의 굴절 현상 때문입니다.

    물은 공기보다 굴절률이 높기 때문에 빛이 물과 공기 사이에서 바뀝니다. 이것은 물과 공기 사이의 경계면에서 일어납니다. 빛은 공기에서 물로 들어갈 때, 물을 향해 굴절되고 속도와 방향이 바뀝니다. 이러한 굴절으로 인해 물 속에서 물체의 모양이 왜곡되어 보입니다.

    또한, 물 속에서 물체는 물의 밀도가 높기 때문에 물체에 작용하는 부력이 증가합니다. 이렇게 물 속에 물체를 넣으면 물의 밀도에 따라 물체의 부피가 바뀌고, 부력이 증가하므로 물체가 뚱뚱해보입니다.

    따라서, 물 속에서 물체는 굴절로 인해 왜곡되고, 부력으로 인해 뚱뚱해보인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물속에 들어가면 물의 밀도가 공기의 밀도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물속에서 물체는 물의 밀도에 영향을 받아 '물줄기'를 만나면서 굴절되어 보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이러한 굴절은 빛의 속도가 물에서 공기보다 더 느리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즉, 빛이 물 속에서 움직일 때는 공기보다 느리게 움직이기 때문에 빛의 진행 방향이 굽어지게 되어 물 속의 사물은 실제보다 크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상황에서는 빛의매질은 공기에요 빛은또 무한히 직진하려는성질을 가지고있어요 따라서 물에반사되면서 입사각,반사각이 생겨 달라보임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은 매질에 따라 굴절을 하는데요. 물속 다리에에 반사된 빛이 물 밖으로 나오면서 굴절을 하게 되고 우리 눈과 뇌는 실제 다리가 있는 위치보다 높은 곳에서 빛이 온다고 생각하여 짧에 보이는 원리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결에의해 왜곡되어 그렇게 보이는것 같습니다.


    물깊이는 사실 왜곡현상때문에 육안으로 파악하기 쉽지않습니다.


    길이가 그렇게 보이는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 물 속으로 들어가면 물체의 길이는 짧아지고 뚱뚱해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굴절(refraction)이라고 합니다.

    빛은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전자기파입니다. 물속에서 빛이 진행하다가 물과의 경계면에 닿게 되면, 빛의 속도는 더 느려지게 됩니다. 이는 물의 굴절률이 공기의 굴절률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빛이 물과 같은 매질로 들어가면서,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이를 굴절이라고 합니다.

    이 때, 빛이 물과 같은 매질로 들어가면서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기 때문에, 물체의 모양도 바뀌어 보이게 됩니다. 이는 빛이 물과 같은 매질에서 직진하지 않고 굴절되기 때문입니다. 빛의 굴절이 일어나면서, 물체의 아랫부분은 물 속에서 상대적으로 더 가깝고, 윗부분은 더 멀어지게 되어 물체의 모양이 뚱뚱해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굴절에 의한 광학적 착시라고도 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손이나 발이 물속에 들어가면 원래 길이보다 짧아 보이는 이유는 굴절(refraction) 때문입니다.

    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빛이 물과 공기 사이를 옮길 때, 굴절되는 정도가 다릅니다. 물 속에서 빛은 공기보다 더 느리게 움직입니다. 그래서 물과 공기 경계면에서 빛은 굴절되어 경로가 바뀌게 되고, 이로 인해 물체의 위치가 실제보다 더 가깝게 보이게 됩니다.

    손이나 발 같은 물체가 물 속으로 들어가면, 빛이 물과 공기 경계면에서 굴절되어 물체에서 나오는 빛의 진행 방향이 변하게 됩니다. 그 결과,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의 진행 방향도 변하게 되고, 손이나 발이 물 속으로 들어갈 때 더 가깝게 보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손이나 발이 더 짧아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