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세심한테리어2
세심한테리어223.10.28

태양 표면은 약 6000도에 달하는데 플레어는 수천만도 올라간다합니다.

보통 일반상식으로는 터지는 중심지로부터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온도가 떨어지는걸로알고잇습니다. 표면은 6000도 근방으로 알려져잇고 플레어는 순간적인 온도가 수천만도에 달한다하는데 같은 폭발로인한 열인데 이렇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폭발로 인한 열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표면 폭발과 플레어 폭발은 폭발의 형태와 특성에 따라 다른 열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표면 폭발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며, 6000도 주변의 열을 생성한다는 정보는 폭발 지점에서 발생하는 열을 일반적으로 의미합니다. 폭발의 온도는 폭발하는 물질의 종류와 양,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면에, 플레어 폭발은 폭발이 일어나는 공간 내에서 매우 높은 온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플레어는 일반적으로 가스를 연소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가스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폭발 온도가 수천만도에 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플레어는 흑점 가까이에서 발생하는데, 빛을 발하기 시작하면 수분 내에 급격히 밝아지면서 섬광(閃光)을 발합니다. 그 밝기는 서서히 감광(減光)하여, 수십 분 또는 1시간 후에 본래의 밝기로 되돌아간다고 하네요.


    순간 발광하는 섬광시간동안 즉 단기간 높은 온도를 유지했다가 감광하면서 다른 표면온도와 평형을 이루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