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인도역사에서 카스트제도는 왜 나온건가요?
세계사에 대해 공부하던 중 인도역사에서의 카스트제도에 대해 보게되었습니다. 이렇게 차별적인 제도가 나온 이유와 유지될 수 있는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카스트 제도는 인도의 힌두 교도 사회의 세습적인 신분 제도로, 기원전 10세기경 인도에 침입한 아리아 인과 부족 제도가 나뉘면서 시행되었습니다. 사제 계층인 브라만, 왕후 · 전사 계층인 크샤트리아, 상인 · 농민 계층인 바이샤, 수공업과 노예 계층인 수드라의 4대 계층이 생성되었는데, 이것을 4성이라 합니다. 최상층인 브라만 계층은 자신들의 혈통이 순수하고 뛰어난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브라만 계층은 그 이하인 계층에 속하는 자에게 순차적으로 부정한 정도를 더하여, 인간으로서도 열등하다는 관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카스트 제도 [caste 制度]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2002. 9. 25., 강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