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데놀정과 티램정을 동시 복용해도 될까요?
백신부작용으로 심장이 두근대고 명치 통증이 있어서
심장내과와 일반내과를 다녀왔어요.
심장내과에서는 인데놀정을
일반내과에서는 티램정을 처방 받았는데
두 약을 동시에 복용해도 될까요?
인데놀정은 교감신경을 억제하고
티램정(진경제)는 부교감신경을 억제 한다고 나오네요.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1. 인데놀은 심장을 덜 뛰게해주는 약이고 티램정은 진경제로 명치 통증을 잡아주는 약입니다.
2. 동시에 드셔도 되며 인데놀정에 의해 졸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인데놀정은 프로프라놀롤염산염 성분으로 발작성 빈맥 및 심방세동 빈맥 증상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티램정은 티로프라미드염산염 성분으로 간담도산통, 여러 원인에 의한 복부산통, 신장ㆍ요관의 산통으로 인한 급성 경련성 통증 치료에 사용되는 약으로 서로 상호작용이 있지 않기에 함께 복용하시어도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인데놀정은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에 복용하는 약이고 티램정은 속이 아플때 복용하는 약입니다. 두 약을 같이 드셔도 상관없습니다. 동시에 복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티롬정은 티로프라미드가 함유된 진경제이고, 인데놀은 프로프라놀롤이 함유된 심박수를 느리게 해주는 약입니다.
두 약은 같이 먹어도 크게 알려진 상호작용은 없기 때문에 같이 먹어도 상관 없습니다.
안심하고 드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네 기전이 서로 다른약이므로 같이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티램정은 티로프라미드염산염 제형으로서 진경제로 주로 사용합니다.
인데놀은 빈맥이나 떨림 등을 잡아주는데 사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모 약사입니다.
같이 드셔도 됩니다.
인데놀은 심장 두근거림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고 티램은 그냥 위장약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두 약이 효과를 방해하거나 하는것은 적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희재 약사입니다.
보통의 진경제들은 항콜린작용으로 인해 부교감신경을 억제하나 티램정의 성분인 티로프라미드는 항콜린작용이 없으므로 부교감신경억제 부작용은 없다고 보셔도됩니다.
따라서 두 약을 동시 복용해도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 티램정은 혈압약 복용 시만 주의하시면 되고요
- 같이 복용해도 됩니다
4. 티램정 상호작용
혈압강하약물을 투여받는 환자에게 이 약을 고용량 투여할 경우에는 혈압강하효과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5. 인데놀 상호작용
1) 베타차단제를 투여하는 환자에게 아드레날린 함유제제를 투여할 경우에는 드물게 혈관수축, 고혈압, 서맥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2) 교감신경계를 억제하는 다른 제제(레세르핀 등)와 병용투여 시 과잉억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3) 혈당강하제와 병용투여 시 혈당강하작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4) 클로니딘을 투여하다 베타차단제로 바꾸어 투여할 때에는 주의한다. 클로니딘과 병용 투여 시 클로니딘 투여중지 후 이 약의 리바운드현상이 증강될 수 있다(클로니딘 투여중지는 먼저 이 약을 중지하고 수일간 경과를 관찰한 후 실시한다).
5) Class I 부정맥 치료제(예, 디소피라미드, 프로카인아미드, 아즈마린, 퀴니딘, 프로파페논) 또는 아미오다론과 병용투여 시 심방전도시간에 대한 영향이 강화될 수 있으며, 과도한 심기능 억제(서맥, 심정지 등)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감량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6) 심실기능 손상환자에게 베라파밀, 딜티아젬과 병용하여 베타차단제를 투여할 경우 주의하며 전도이상 환자에는 병용하지 않는다(심실기능 장애, 동방 또는 방실전도 장애 환자에서 약물의 작용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 결과 심각한 저혈압, 서맥 그리고 심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이들 각 약물은 다른 약물의 투여 중지 후 48시간 이내에 정맥주사하지 않는다.
7) 에르고타민, 디히드로에르고타민 또는 관련 화합물과 병용투여 시 혈관경련반응의 이상반응이 보고 된 바 있으므로 주의한다.
8) 이부프로펜 또는 인도메타신은 이 약의 혈압강하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9) 이 약과 클로르프로마진의 병용투여는 두 약물의 혈장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클로르프로마진의 항정신 효과와 이 약의 혈압강하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10) 리도카인과 병용투여 시 리도카인의 배설을 지연시켜 혈중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11) 디히드로피리딘(dihydropyridine)계 칼슘채널차단제(니페디핀, 니솔디핀, 니카르디핀, 이스라디핀 및 라시디핀)과의 병용투여 시 저혈압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고, 잠복성인 심장애 환자에서 심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12) 디기탈리스제제와 베타차단제와 병용투여는 방실분리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13) 시메티딘 또는 히드라라진과의 병용투여는 이 약의 혈장농도를 증가시키나 알코올과의 병용투여는 혈장농도를 감소시킨다.
14) 아드레날린과 같은 교감신경 효능약물의 병용은 베타-차단제의 효과를 중화시킬 수 있다. 드문 경우 혈관수축, 고혈압 그리고 서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베타-차단제를 투여하고 있는 환자에게 아드레날린을 함유한 제제를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15) 리도카인의 주입 중에 이 약을 투여하는 경우 리도카인의 혈장농도가 30 %까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이미 이 약을 투여 받고 있는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리그노카인의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이므로 두 약물의 병용은 피할 것.
16) 이 약과 리자트립탄의 병용투여는 리자트립탄의 AUC 및 Cmax를 각각 67 % 및 75 %까지 증가시켰다. 이는 프로프라놀롤에 의한 MAO-A의 억제로 인한 리자트립탄의 초회통과효과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 약물을 병용투여시 리자트립탄을 5mg으로 감량하는 것이 권장된다.
17) 약물 동태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다음에 열거한 약물들은 이 약 및 이들 약물의 대사에 관여하는 간내의 효소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 약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퀴니딘, 프로파페논, 리팜피신, 와르파린, 티오리다진 병용 시 두 약물 중 어느 약물의 혈장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임상적 판단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