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고려 사회와 조선 사회 중 노비의 비율이 더 높았던 사회는 어느 사회인가요
인터넷을 보니깐 조선사회가 노비 비율이 굉장히 높아 없다고 하더라고요 특히나 조선 후기가 특히그랬다고 하던데 고려시대에는 생각보다 노비가 비율상 적었다고 하더라고요 어느 것이 맞나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노비는 조선인구를 1000만명이라고 봤을때 대략 40%에 해당하는 400만명 정도였다고 추정합니다.
따라서 조선시대에 노비의 비율이 높았다는것을 알 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에는 노비의 비율이 10% 미만이었습니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 접어들면서 노비의 비율이 40%정도 되었습니다.
이렇게 많아진 것은 조선시대 노비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양천교혼(良賤交婚)을 시행한 결과입니다.
이렇게 양천교혼을 실시하게 된 것은 노비는 재산이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