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22.12.12

압축렌즈는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압축렌즈는 어떻게 만들어 지나요?

렌즈를 정말 압축하는 것인가요? 밀도를 높이는거? 아닐거라 생각되는데

어떻게 압축렌즈를 만드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22.12.12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경의 압축렌즈라고 불리는 렌즈는 실제로는 고굴절렌즈라고 하는 것이 더 맞습니다.

    제작 공정에 물리적인 압축은 없습니다.

    대신 렌즈를 만들 때 납이나 티타늄 등의 섞어 굴절을 높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압축렌즈라고 불릴까?

    이유는 밀도차이입니다.

    빛이 유리를 지날 때 굴절 정도는 물체의 밀도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밀도를 높일수록 굴절 정도가 커지게 됩니다.

    즉 흔히 말하는 고압축렌즈는 고밀도렌즈이고, 고굴절렌즈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압축렌즈가 압축이 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굴절율을 조절하는건데요. 굴절률이 높을수록 빛 더 많이 꺽여서 두께가 얇아지는 원리입니다. 즉 다른 굴절률을 갖는 다른 물질인셈이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렌즈를 물리적으로 압축하는 것이 아닌, 성격이 다른 물질이라는 것


    압축렌즈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우선 압축렌즈에 대해 알기전에 선행되어 알아두셔야할 상식이 있어요.


    바로 굴절률이라는 개념인데요.


    빛이 서로 다른 매질을 통과하면 그 경계면을 기점으로 빛의 방향이 꺾여진다. 이것은 빛의 속력이 어떤 매질을 통과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빛은 서로 다른 두 지점을 이동할 때 최단 시간에 도달하도록 경로를 정하는 성질이 있다.


    이 때 빛이 꺾어지는 정도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것이 굴절률이다. 굴절률은 일반적으로 빛의 파장에 따라서 달라진다.


    굴절률에 대한 개념인데요. 이런 굴절률에 따라 당연히 물질마다 굴절되는 정도가 다르다고 할 수 있어요.


    지루하실까봐 쉽게 풀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압축렌즈는 렌즈를 압축하는 것이 아닌, 같은 플라스틱이여도 성격이 다른 물질이라고 할 수있어요.


    흔히 가장 많이 쓰시는 안경렌즈의 표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몇번압축이라는 표현대신 이표의 상단에 1.56 / 1.60 / 1.67 / 1.74 라는 숫자 보이시나요? 이 수치에 따라 안경원에서는 각각 1번/2번/3번/4번 압축 이라는 표현을 써요.



    이젠 아시겠나요? 이 숫자가 곧 굴절률을 뜻합니다. 굴절률이 높을수록 빛이 더 많이 꺾이니 굴절력이 높아져서 두께가 얇아지겠죠? 그런 원리입니다.



    바꿔 말하면 각각 다른 굴절률을 갖는 다른 물질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하세요. 그래서 이걸 편하게 표현하고싶어서 1번압축 2번압축 3번압축 4번압축 이라고 표현하는게 일상이 되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