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rogermaan
rogermaan

프라하의 봄이란 말을 종종 듣는데요 무엇을 뜻하는 말인데 궁금합니다

가끔 프라하의 봄이다라는 말을 종종 듣곤 합니다 도무지 무슨 의미를 가진 말인지를 이해를 못 하고 있습니다 프라하의 봄이 뜻하는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당 제1서기 알렉산데르 둡체크에 의해 시작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민주화 운동을 칭하는 말입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반동'스러운 행동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던 당시 소련 공산당 서기였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1967년 12월에 프라하를 방문하여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서기였던 노보트니[2]와 동시에 다른 유망인물들 또한 대면하였는데 그는 이 과정에서 만난 알렉산데르 둡체크(이하 둡체크)에게 유독 호감을 표시하였다. 둡체크는 소련에서 태어나고 자란 엔지니어 출신으로 정치계에 입문하여 급성장한 인물이었다. 결국 이와 같은 상황에서 1968년 1월 총회에서 노보트니가 당 제1서기를 사임하고 개혁파인 둡체크가 그 자리를 맡았다.

    그러나 브레즈네프의 기대와는 반대로, 둡체크는 보다 더 급진적인 자유주의 개혁을 밀어붙인다. 당해 3월부터 개혁이 본격화되기 시작하는데, 개혁운동과 함께 과거의 실패에 대한 비판과 반성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는 정부의 언론검열제도가 폐기된 데 기인하며 언론·집회·출판의 자유가 보장되어 자유가 회복된만큼 시민사회도 재활성화되었다. 과거 정치적인 문제로 숙청된 인사들도 사회에 활발하게 복귀하여 사회활동을 전개해 나갔으며 공산당 내부에도 인사교체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국가 주요 요직에 개혁파를 임명했으며 4월에는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라는 행동강령을 발표했다.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은 권력독점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경제 수정주의와 민주주의를 도입하게 되는데, 이른바 '프라하의 봄'이 도래한 것이다.

    출처: 나무위키 프라하의 봄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라하는 체코의 수도 이지요. 체코는 1945년 2차 대전 이후 소련이 점령하게되어서 공산주의 정부가 들어서고 소련의 영향하에 어둡고 추운 시절을 보내게 됩니다. 그러다가 1989년 자유 민주주의 정부가 처음 들어 서게 됩니다. 그러다가 1992년 슬로바키아와 분리가 되고 현재에는 자유 민주국가가 됩니다. 프라하의 봄은 공산주의 시절에서 민주주의가 들어선 시기를 비유해서 말을 하는 표현 이라고 생각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68년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당 제1서기 알렉산데르 둡체크에 의해

    시작된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민주화 운동을 말합니다.

    프라하의 봄은 실패로 끝났지만 프라하의 봄의 개혁은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고,

    1989년 벨벳 혁명의 길을 닦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것은 궁극적으로 체코에서 공산주의 통치의 종말을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