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
23.11.28

실제 빙하는 표면이 어떤 모습인가요?

빙하라고 하면, 흔히 바다위의 흰색 얼음섬으로 연상되는데, 어느 유튜브에서 그것이 잘못된 상식이라고 하더군요.

실제로 빙하는 어떤 모습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이용준 전문가blue-check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23.11.30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 위에 떠 있는 것은 빙산이라고 합니다. 빙산은 물 아래에 잠겨있는 부분이 전체의 90%입니다. 그래서 조금만 드러나 보이는 것을 '빙산의 일각'이라고 합니다.

    남극에 있는 대륙 빙하의 표면은 얼음 위에 눈이 쌓여 있는 모습입니다.

    우리의 상상과 다른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은 알프스나 히말라야 등에서 볼 수 있는 곡빙하의 표면입니다. 매끄러운 얼음 ㅍ면을 생각할 지 모르지만 실제 모습은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누르면 아이슬란의 빙하 표면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google.com/url?sa=i&url=https%3A%2F%2Fkr.trip.com%2Ftravel-guide%2Fattraction%2Fwaiho%2Ffranz-josef-glacier-92744%2F&psig=AOvVaw1Zi5oX1ypMzIkicjsi2jk7&ust=1701397607728000&source=images&cd=vfe&opi=89978449&ved=0CBEQjRxqFwoTCMD18JHW6oIDFQAAAAAdAAAAABAR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 쌓여 있는 빙하의 표면은 흰색이며 부드럽고 평평한 모습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눈이 쌓여 빙하의 표면이 덮여 있을 때의 일반적인 모습입니다.빙하의 표면은 푸른 음영을 띠기도 합니다. 이는 빙하의 두께가 충분히 있는 경우, 빛이 빙하에서 흡수되고 반사되는 결과로 나타나는 색상입니다.빙하 표면에는 균열이나 틈새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는 빙하의 운동이나 압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균열은 빙하의 표면에 길게 늘어진 갈라진 선이나 깊은 틈새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과 눈이 뭉쳐서 오랜세월 굳어진 결정체 입니다. 투명하고 매끈한 표면의 얼음 보다는 거칠고 이물질도 많은 상태 입니다. 햇빛에 반사되면 에메랄드 색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의 특정 지방에서는 눈이 녹지 않고 쌓여서 오랜 시간에 걸쳐 단단한 얼음층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중력에 의해 마치 강처럼 흐르는 현상 및 그런 현상이 관측되는 얼음 지형 자체를 뜻합니다.

    사람들이 흔히 말할 때는, 높은 산지에 있는 만년설도 빙하의 일종으로 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