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23.05.04

우연히 밤하늘을 보면 유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게되는데...

밤하늘에 유성이 떨어지는 경우는 어떨때 생기는 것인지 궁금하구요

또한, 대기권으로 들어서면서 짧은 시간이지만 밝은 빛을 내면서 지상으로 떨어진다고 하는데

이런 빛은 왜? 보이게 되는 것인지요?

어떤이는 대기권에 들어오면서 엄청난 마찰에 의해서 열이 발생하고..빛이 난다고 하는데..맞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여러 유성이 한꺼번에 떨어지면 그 모습이 비 같다고 유성우라고 한다. 어쩌다가 혜성이 지나간 길에 남은 찌꺼기들이 둥둥 떠있는 곳(유성군)이 지구의 궤도와 겹치는 때가 있다. 그 결과 찌꺼기들이 지구의 중력에 의해 단체로 끌려들어오면 그게 유성우가 된다. 주로 무더기로 떨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성은, 우주에서 지구로 날아오는 돌과 먼지 입자들이 대기권에 진입하여 속도가 빨라지면서 발생하는 열과 압축에 의해 불타며 빛을 내면서 지상으로 떨어지는 현상입니다.

    유성이 지구에 떨어지는 시기는, 지구가 해외(또는 겨울철)와 같이 특정 시기에 우주에서 날아오는 먼지 입자들과 만나게 되는 시기입니다. 이때 먼지 입자들이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속도가 빨라지면서 열과 압축에 의해 불타며 빛이 발생하면서 유성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유성이 빛나는 이유는, 대기권에 진입한 돌과 먼지 입자들이 불타면서 발생하는 열과 압축이 공기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빛입니다. 이 빛은, 지상에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밝기 때문에 유성이 떨어지는 순간 지상에서도 관측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권에는 4개의 구간이 있고 그 중 중간권을 진입할 때 공기층에 의한 마찰에 의해서 6,000도 이상의 고열 및 플라즈마가 발생합니다.

    이 때 발생된 모습을 보신 것으로 보이네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성은 지구로 떨어지는 소행성이나 소성 먼지 입자가 대기권에 충돌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충돌로 인해 대기권의 고온과 압력으로 인해 빛을 내며, 그 결과 눈에 관측되게 됩니다. 대부분의 유성은 운동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높은 속도로 움직이며, 이 때문에 지상에서는 금방 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로 작은 유성이 많이 떨어집니다. 그런데 이 유성은 대부분 대기권에서 사랍니다. 공기와의 마찰로 타버리는 거죠. 그 불빛이 유성으로 보이는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