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레토차트의 개념이 어떻게 되는건가요?
어떤 불량에 대해 순서별로 알고 싶을때 파레토 차트를 사용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여기서 8대2의 법칙이 나오더라구요.이 개념이 무슨 개념인가요?
안녕하세요. 프링포입니다.
파레토 차트(Pareto chart)는 품질 관리와 관련된 통계적 도구 중 하나로, 20:80 원칙에 기반하여 상위 20%의 원인이 전체 결과의 80%를 설명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이 그래프는 "파레토의 법칙"이라고도 불리며, 이 법칙은 19세기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에 의해 제시되었습니다.
파레토 차트는 주로 문제 해결과 개선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제품 불량률을 줄이기 위해 불량 원인을 파악하고자 할 때, 발생한 불량의 종류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발생 건수를 파악하고 이를 파레토 차트로 나타내면, 상위 20%의 불량 원인이 전체 불량 건수의 80%를 차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 작업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파레토 차트는 품질 관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통계적 도구 중 하나입니다.
답변이 유익하셨다면 추천,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현명한뻐꾸기232입니다.
파레토 차트(Pareto chart)는 일본의 경영 컨설턴트인 J.M. 주라( J.M. Juran)과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가 고안한 통계학적 그래프로,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문제의 주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파레토 차트는 세로축에 빈도수, 가로축에는 문제의 발생 원인을 나타내는 요소들을 순위별로 배열하여 그림으로 나타냅니다. 이렇게 그려진 파레토 차트를 통해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중 상위 20% 정도의 요인이 전체 문제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주요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