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임지분증명(DPOS)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의 문제점은 없나요?
위임지분증명(DPOS)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에서는 소수의 노드들에게만 거래 내역 승인을 받으므로 처리속도가 지분증명(POS)에 비하여 월등히 빠르기 때문에 이더리움에 비하여 이오스의 TPS가 높다고 들었습니다.
이러한 DPOS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은 소수의 대표 노드들에게 BP(Block Producer)의 자격을 부여하는 일종의 '대의 민주주의' 형태로 이해할 수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알고싶습니다.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DPOS 합의 알고리즘이 대의 민주주의와 비슷하다고 할 때 현실에서도 국회의원들이 국민의 바람대로만 정치를 하지 않듯이 DPOS 합의 알고리즘의 대표 노드들도 서로 간에 담합 투표를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등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DPOS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한 대표적인 블록체인인 이오스 블록체인을 예로 들어 설명드리자면, 대표 노드인 BP들이 자신들의 마음대로 모든 것을 결정할 수 없도록 시스템을 마련해 놓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오스 블록체인에서 252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이루어지는 재투표를 통해 득표 상위 BP들의 순위가 바뀔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252블록인 이유는 득표 상위 21 BP들이 각각 12블록씩 생성하고 난 후에 다음 라운트 투표가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즉, 이오스 블록체인의 블록생성 시간이 0.5초이니 대략 126초마다 한 번씩 재투표가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투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1차적으로 BP들에 대한 이오스 유저들의 견제가 가능해 지는 것이죠.
또한 BP가 어떤 이유로 블록 생성 시기를 놓치고 24시간 내에 블록을 생성하지 않을 경우, 해당 BP가 블록 생성을 다시 시작할 것임을 알리기 전까지 21 BP에서 제외됩니다.
이렇듯 이오스 블록체인은 대표 노드에게 권한이 집중되어 있는 중앙화된 측면이 있지만, 중앙화로 인한 폐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BP들의 담합이나 잘못을 견제할 수 있는 방법을 블록체인 상에서 구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DPOS의 대표적인 암호화폐인 이오스는 투표로 선출된 이오스의 상위 21개 BP들이 담합을 하여 이오스 네트워크를 좌지우지 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이오스는 탈중앙화가 아니라 다는 논란의 여지가 많았죠.
하지만 상위 21개의 BP들은 언제든지 이오스 홀더들에 의해서 바뀔 수 있는 100여개의 BP 후보자들이 있기 때문에 마음대로는 하지 못합니다. 만약 BP들이 문제를 일으킨다면 쉽게 퇴출할 수 있도록 126초마다 재 투표가 가능한 기능이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아래 사이트에서 투표 현황과 BP 후보자 랭크를 확인할 수 있으니 확인 바랍니다. ^^
이오스 투표 현황 확인 (이오스서울): https://portal.eoseoul.io/vote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