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공정위가 기업총수기준을 구체화하였는데 정확히 어떤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이번에 공정위가 기업총기준을 구체화하였다는 얘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공정위가 기업총수 기준을 어떻게 구체화하였는지 궁금하여, 즉 어떤 기준으로 선정되는것인지 그렇다면 주요 대기업집단으로 볼수 있는 기업중에 제외된 오너나 대표이사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존 기업집단을 사실상 지배하는 자연인을 그 기업집단의 동일인으로 보는 동일인 판단의 일반 원칙은 그대로 유지된다. '사실상 지배하는 자연인'에 대한 판단은 △기업집단 최상단 회사의 최다 출자자 △기업집단의 최고 직위자 △기업집단의 경영에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자 △내·외부적으로 기업집단을 대표해 활동하는 자 △동일인 승계 방침에 따라 기업집단의 동일인으로 결정된 자 등 5가지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정위는 기업집단 지정시 동일인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입법 예고하였는데, 이 내용에서는 동일인은 기업집단의 범위와 대기업 규제 적용 대상을 결정하는 기준점으로서, 동일인이 사실상 지배하는 회사들을 하나의 기업집단으로 묶어 관리·감시하게 되는데 기업집단을 사실상 지배하는 자연인을 그 기업집단에 동일인으로 보는 동일인 판단의 일반 원칙은 그대로 유지하며, 사실상 지배하는 자연인에 대한 판단은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 기업집단 최상단회사의 최다출자자

      • 기업집단의 최고직위자

      • 기업집단의 경영에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자

      • 내·외부적으로 기업집단을 대표해 활동하는 자

      • 동일인 승계 방침에 따라 기업집단의 동일인으로 결정된 자

      그리고 이러한 동일인 지정을 피할 수 있는 예외조항이 있는데, 동일인을 자연인으로 보든 법인으로 보든 기업집단의 범위가 동일하고, 기업집단을 사실상 지배하는 자연인이 최상단 회사를 제외한 국내 계열회사에 출자하지 않으며, 해당 자연인의 친족이 국내 계열회사에 출자하거나 임원으로 재직하는 등 경영에 참여하지 않고, 자연인 및 친족과 국내 계열사 간 채무 보증이나 자금 대차가 없다는 조항으로서, 이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한다면 기업집단을 사실상 지배하는 자연인이 있더라도 법인을 동일인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공정위에서는 기업총수기준을 자연인 또는 법인을 동일인으로 판단하는 일반원칙을 명문화하는 한편, 기업집단을 사실상 지배하는 자연인이 있는 경우에도 법인 등을 동일인으로 볼 수 있는 예외요건을 신설하는 것을 주요 내용이며 ▲ 동일인 판단을 위한 5가지 세부기준 ▲동일인 변경 사유·시점 ▲동일인 확인 절차를 명확히 규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