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호국불교라는 말은 어느시기에 나온말이며 동아시아에서 나온말인가요?

불교는 동아시아에서 전파를 받고 고대국가부터 급격히 퍼지게 된 종교입니다.

그런데 호국불교라는 사상이 나오는데 이말은 어느시기에 나온말이며 동아시아에서 강조된 말이었던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노란굴뚝새46
    노란굴뚝새46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는 외적의 침입이 잦았기 때문에 강한 군대와 싸워서 이길 수가 없자 부처님의 법력으로 난세를 극복하고자 하는 염원에 따른 행위로 보여집니다. 몽고족이 침입해 왔을 때 힘에 쫒겨다니자 부처님의 법력으로 외적을 물리치고자 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을 축조한 것입니다. 이때부터 호국 불교적 성격이 생기게 된 것으로 추측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시대의 왕들은 왕즉불 사상을 개발해 왕이 곧 부처라 했고, 따라서 부처를 모시는 승려들은 왕의 병사가 됩니다.

    이 때문에 삼국시대에는 사찰을 수도 한복판에 거대한 규모로 지어지는데 이렇게 승려가 지배층의 세력이 되면서 호국불교의 개념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불교에서 호국 불교 사상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은 신라에 불교가 토착화되면서부더 입니다. 신라의 불국토사상은 호국 불교 사상과 결부되어 삼국 통일의 밑거름이 되었는데 호국 사상 (護國思想)은 진호국가 (鎭護國家), 즉 불교 의 교법 (敎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중국.태국 및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국불교라는 말은 한국의 고대부터 중세까지 국가가 불교를 보호하고 육성함으로써 국가의 안정과 발전을 추구하였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주로 고려시대의 불교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