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불교라는 말은 어느시기에 나온말이며 동아시아에서 나온말인가요?
불교는 동아시아에서 전파를 받고 고대국가부터 급격히 퍼지게 된 종교입니다.
그런데 호국불교라는 사상이 나오는데 이말은 어느시기에 나온말이며 동아시아에서 강조된 말이었던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는 외적의 침입이 잦았기 때문에 강한 군대와 싸워서 이길 수가 없자 부처님의 법력으로 난세를 극복하고자 하는 염원에 따른 행위로 보여집니다. 몽고족이 침입해 왔을 때 힘에 쫒겨다니자 부처님의 법력으로 외적을 물리치고자 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을 축조한 것입니다. 이때부터 호국 불교적 성격이 생기게 된 것으로 추측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시대의 왕들은 왕즉불 사상을 개발해 왕이 곧 부처라 했고, 따라서 부처를 모시는 승려들은 왕의 병사가 됩니다.
이 때문에 삼국시대에는 사찰을 수도 한복판에 거대한 규모로 지어지는데 이렇게 승려가 지배층의 세력이 되면서 호국불교의 개념이 생기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 불교에서 호국 불교 사상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은 신라에 불교가 토착화되면서부더 입니다. 신라의 불국토사상은 호국 불교 사상과 결부되어 삼국 통일의 밑거름이 되었는데 호국 사상 (護國思想)은 진호국가 (鎭護國家), 즉 불교 의 교법 (敎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중국.태국 및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 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국불교라는 말은 한국의 고대부터 중세까지 국가가 불교를 보호하고 육성함으로써 국가의 안정과 발전을 추구하였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주로 고려시대의 불교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