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인자한뱀눈새152
인자한뱀눈새152

아파트 평균 수명은 어찌하나요?

아파트 평균 수명은 어찌하나요?

아파트는 평균수명이 어찌하나요?

50년정도하는건가요 그럼 50년이라고치고 49년째 아파트사면 난중에는 어찌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와일드한참고래293
    와일드한참고래293

    안녕하세요. 쫀쫀한사마귀265입니다.

    우리나라 아파트의 평균수명은 30년 정도로 추산된다. 나무로 된 가구도 잘만 관리하면 30년 넘게 사용하는데, 인류가 자랑하는 최고의 건설재료인 철근 콘크리트로 만든 것치고 수명이 생각보다 길지 않다.

  • 안녕하세요.

    아파트 수명은 거의 100년넘게 갑니다. 다만 18년정도 되면 제일먼저 배관이 부식되어서 녹물이

    나옵니다. 그래서 지자체별로 배관을 교체할때 비용의 50%정도는 지원해주는곳도 있습니다.

    갈수록 건축기술이 좋아져서 수명이 오래가긴 하지만 요즘짓는 아파트는 워낙 공간활용도나

    편의성에서 뛰어나다 보니 서로 비교해서 아주 불편하게 생각될뿐입니다. 

    재건축은 저층아파트를 고층으로 높이고 남은 세대를 분양하여 건축비를 충당할때만 가능하고

    고층아파트는 재건축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요즘은 복도식 아파트만 리모델링을 하고 수직으로

    3개층정도를 증축해서 건축비로 충당을 하고 각 세대별로 건축비를 분담하여 복도넓이만큼

    집을 넓게 짓는 경우는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생활지식입니다.

    맞습니다. 평균수명은 50년입니다. 하지만 50년이 지나도 사용가능 여부는 시,구,군청에서 안전평가검사를 통해 50년 지난 아파트의 재개발여부를 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푸른생쥐138입니다.

    보통 40~50년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 사업성에 따라 재건축을 하거나 리모델링을 하게됩니다.

    예를들어 1980년대 지어진 5층 아파트가 있다면 아파트를 전부 부수고 그 땅에 20층 또는 30층 또는 그 이상의 높이의 아파트를 짓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전 부수기 전의 아파트 보다 더 넓은 평수의 아파트를 짓더라도 더 많은 세대수의 아파트가 지어지게 되죠. 그러면 기존 거주자는 더 넓으면서 새로운 아파트에 약간의 돈또는 무상으로 소유하게 됩니다.

    기존보다 높게지어서 더 많은 세대수로 되기 때문에 남는 세대수만큼 분양을 통해서 건설사는 수익을 가져 갑니다.

    그래서 낮으면서 아파트 부지가 넓은 구축 아파트가 사업성도 높고 인기가 많습니다.(예를들면 반포주공아파트)

    그러나 오래되었지만 20층짜리 아파트의 경우 높게 지어도 3~40 올려도 건설사의 수익성이 낮기 때문애 재건축 진행이 잘되지 않고 사업진행 단계에서 무산되기도 합니다.(대치동 은마아파트 같은 케이스)

    그래서 이럴경우 리모델링을 합니다. 내부만 전부 부수고 그 부분을 새롭게 짓는 것이죠. 이럴땐 아파트 내에 남는 부지에 1~2개 동을 더 지어 건설사가 수익을 가져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