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는 언제부터 일반식을 할수 있을까요?
아이들이 태어나면 모유 수유를 하거나 이유식으로 음식을 먹잖아요. 아이는 태어나서 언제부터 일반식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돌이 지나면 일반식을 먹일 수 있습니다. 모유수유와 이유식을 적정 시기에 해 주고 어른이 먹을 수 있는 고형식을 먹을 준비가 되어 있다면 일반식으로 시작해도 됩니다. 단 음식의 간은 세지 않게 해 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일반식을 언제 줘야 하는지 궁금하군요.
무른밥을 먹던 아이에게 바로 어른 음식을 먹이면 적응하기가 쉽지 않겠습니다.
12개월~15개월 정도에는 이유식 완료기로 유아식(일반식)을 준비하는 단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아이에게 어른밥보다 물기가 많고 부드러운 진밥을 만들어서 줍니다.
이유식 완료기 후반부터는 반찬 하나 정도를 진밥 위에 올려주면서 유아식을 준비해주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먹는 속도에 따라 개인차가 있겠으나
보통은 돌 이후에 유아식을 하며 유아식을 지나 일반식으로 넘어가기도 합니다.
아이에 따라 빠르게 돌 이후에 일반식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최대한 간을 늦게 해주고 덜 자극적으로 먹는 것이 좋으므로 천천히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12개월부터 진밥으로시작하여점차적으로 일반식으로넘어갈수 있답니다.
후기이유식이 끝나면시도하면좋겠네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마다 성장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는 있지만 보통은
돌을 전후로 이유식으로 넘어가고 두돌 전후로 일반식을 먹는다고
합니다. 아이들마다 차이가 있어 더 이른시기에 일반식을 먹는 아이도
있고 늦은시기까지 이유식을 먹는 아이도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반식의 경우 아이가 후기 이유식이 끝나고 돌이후가 되면 어느정도 일반식으로 변화를 줄수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갑자기 넘어가는것보다 아이의 소화상태를 확인하면서 진행하는좋아요.보통 이유식은 12개월 이후에 끝내는게 좋다고 합니다. 조급하지않고 자연스럽게 바꾸시면됩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보통 24개월 이후에
간이 된 음식을 먹어서 이 때부터
일반식을 먹는다고 보시면 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아이들과 같은 경우
돌이 지난 이후에 유아식 식단부터
일반식을 시작합니다.
간이 된 음식은 두돌부터 시작하게 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유식에서 유아식이나 일반식으로 넘어가는 시기는 보통
12개월 이후에 하면 됩니다
이 시기엔 정체기가 많이 와서, 식욕도 없고, 영양이 부족해지기 쉽답니다
이 시기엔 고형 식사를 통해서 영양밀도를 높여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일반식을 먹을 수 있는 시기는 초기 이유식, 중기 이유식,후기 이유식, 유아식을 거친 후에 일반식으로 넘어가면 됩니다
보통은 돌이 지나고, 아이의 소화 상태를 봐가며 천천히 일반식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는 생후 4~6개월에 이유식을 시작하고 첫돌이 지나면 서서히 분유를 끈고 생우유와 일반식을 먹습니다...
이때 밥은 살짝 질게하고 국의 간은 다시마 멸치등을 이용해 싱겁게 간을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