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지폐 뒷면의 풍경은 실제 있는 곳인가요?

천원 오천원 만원 권 뒷면을 보면 오래된 목조하고 풍경이 있는데요

이곳은 실제있는 곳인가요?

그리고 실제 있다면 그곳 소재지를 가르쳐주시고

이 배경이 지폥에 들어가게된 계기를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실제로 있는 곳입니다.

    1>만원권: 경회루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경복궁의 서쪽 방지(方池) 안에 세워진 누(樓).

    2>오천원권: 오죽헌 -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 201

    3>천원권: 도산서원 -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지폐앞의 인물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때문입니다.★

    천원권은 퇴계 이황선생이죠.
    도산서원은 퇴계이황선생의 학덕을 추모하는 문인들이 세운것으로 퇴계이황 하면 도산서원을 떠올립니다.

    오천원권은 율곡이이 선생입니다.
    오죽헌은 사임당이 율곡을 낳기 전에 용꿈을 꾸었다는 데서 이름이 붙은 몽룡실이 대표가 되는데, 온돌방과 툇마루로 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순한 일자형 집으로, 본살림채는 아니고 별당 건물입니다.

    만원권은 세종대왕입니다

  • 당당한뱀70
    당당한뱀70

    모두 실존하는 장소입니다.

    만원권: 경회루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경복궁의 서쪽 방지(方池) 안에 세워진 누(樓).

    오천원권: 오죽헌 -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 201

    천원권: 도산서원 -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이 장소들은 모두 지폐 앞장에 있는 인물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천원권에는 퇴계이황

    오천원 권에는 율곡이이

    만원권에는 세종대왕님이 그려져있습니다.

    공감과 채택 부탁드립니다~^^

  • 1. 천원 지폐- 「계상정거도」; 겸재 정선

    천원 지폐의 뒷면에는 풍경화가 그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있는 장소이고요, 천원 지폐의 주인공인 이황이 머무르던 도산 서당(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도산서원)이라고 합니다. https://blog.ibk.co.kr/m/1190

    2. 오천원 지폐- 「초충도」; 신사임당

    오천원 지폐의 뒷면에는 율곡 이이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의 '초충도'가 그려져 있습니다. 초충도는 원래 8폭의 병풍에 그려진 그림으로, 오천원권에는 그 중 '수박과 여치'와 '맨드라미와 개구리'가 있습니다. 현재 초충도는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11호로 지정되어 오죽헌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https://blog.ibk.co.kr/m/1194

    3. 만원 지폐- '혼천의', '광학천체망원경', 그리고 '천상열차분야지도'

    혼천의는 세종대왕이 과학자들과 함께 만든 천체 관측 기구입니다.

    그리고 그 옆의 망원경은 우리나라 현대 과학을 상징하는 ‘보현산 천문대의 망원경’입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태조 4년에 제작되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또 정교하기까지 한 이 지도는 과학 문화재로서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https://blog.ibk.co.kr/m/1203

    지폐 속 인물은 역사적 위인들 중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인기가 많은) 위인들을 선정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지폐에 같이 나오는 물건이나 장소 등도 그 위인과 관련해 의의가 큰 것들을 넣는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