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23.05.20

전깃줄에 앉은 새들은 왜 감전이 안되는 것일까요?

전기 공사를 하다가 감전되어 사망사고가 발생했다는 뉴스를 가끔 보게 됩니다. 그런데, 새들은 전깃줄에 앉기도 하는데, 감전되어 죽지는 않습니다. 전깃줄에 앉은 새들은 왜 감전이 안되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이 전선에 앉아도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에게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전류는 저항이 높은곳보다 낮은 곳으로 더 잘흐르는데 전선의 저항에 비해 새의 저항이 더높아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되지 않는 겁니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감전에 대해 이해하시려면...

    감전은 "몸체의 두 부분 사이에 전위차가 생길 때"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몸체에 전기적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전위차[電位差]란? 간단히 말해 전압입니다. 전압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릅니다.)
    전류가 흘러 감전이 되려면 전위차가 존재해야 하는데, 전위차가 0일 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첫째로, 이 새는 전깃줄에 앉아 회로를 형성할 때 전류에 대한 높은 저항력도 제공하기 때문에
    전류가 새가 아니라 계속 전깃줄을 따라갑니다.

    전류도 더 쉬운 길을 택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것은 새들이 충격을 받지 않는 이유 중 하나이지만,
    전류가 새를 통과하지 않는더 중요한 이유는 따로 있는데요.
    두 번째, 전깃줄에 새가 두 다리로전선 위에 올라설 때,두 다리 사이의 전선 부분과새의 몸통이 서로 병렬연결이되기 때문입니다.

    도움 되셨기를...^^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감전은 몸체의 두 부분 사이에 전위차가 생길 때!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몸체에 전기적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전류가 흐를려면 전위차가 존재해야 하는데요. 전위차가 0일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요. 이것은 마치 파이프로 연결된 두 물통의 수압차가 같을때 물의 흐름이 생기지 않는 것과 같은 경우입니다.

    고압선에 참새가 두 다리로 전선 위에 올라설때, 두 다리 사이의 전선부분과 새의 몸통이 서로 병렬 연결이 됩니다. 이로인해 두 다리 사이의 전선부분에는 저항이 0에 가깝게 되고, 따라서 전위차도 0이 되는 것이죠. 병렬회로에서 분기된 회로들은 전위차가 모두 같기 때문에, 참새 몸통을 통한 두발 사이의 전위차도 0이 되는 원리랍니다

    지면과 연결된 전신주는 전압이 아주 미미하거나 없기 때문에 고압선에 앉은 참새가 닿는 순간 참새의 몸과 전신주 사이에 고압선에 흐르는 만큼의 전위차가 생겨버리게 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