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귀한게논239
고귀한게논23923.04.18

왜 달의 뒷면은 탐사를 잘 못하는지 이유가 있을까요?

왜 달의 뒷면은 탐사를 잘 못하는지 이유가 있을까요?

달은 자전을 하지 않나요?

아니면 달 뒤로 가는게 멀어서 그런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뒷면이 탐사하기 어려운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달의 자전과 공전 주기가 같기 때문에 항상 지구 쪽을 향하고 있는데, 이는 지구 쪽에서 통신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둘째, 달의 뒷면 지형은 앞면과 다르며, 접근이 어렵고 착륙 지역이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뒷면은 지구에 가장 가까운 천체 중 하나이지만, 달의 자전과 공전이 일치하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항상 같은 면만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달의 뒷면에 대한 정보는 지구에서 직접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달의 뒷면에는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앞면에 비해 산이 더 높고 분지가 더 깊어져 탐사를 어렵게 만드는 지형적인 특징이 있기 때문에, 탐사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탐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는 달의 앞면만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탐사선이 달의 뒷면으로 진입했을 때 지구에서는 달의 앞면만을 볼 수 있어 지구에는 탐사선에 전파를 보낼 수 없게 돼 착륙 과정에서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었습니다.

    또 착륙한다고 해도 달의 뒷면은 해가 뜨지 않는 밤 시간이 최대 15일이나 되기 때문에 주로 태양광 에너지에 의존해 움직이는 탐사선의 에너지원을 구하기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뒷면을 탐사하지 못하는 이유는 달의 뒷면은 지구와 통신이 어렵고 중계 인프라가필요하고 극단적인 환경과 난처한 착륙 지형이 있는 등 탐사의 난이도가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뒷면은 2019년 중국 창어4호의 최초착륙이후 지속적인 탐사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기술적인 진보를 많이 이루었기에 달 뒷면탐사를 못할이유가 없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