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체들의 블록체인 도입률이 높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리플이 5일공식 사이트를 통해 발표한 '블록체인 결제 보고서 2019'에 따르면, 올들어 금융 서비스 제공 업체들의 블록체인 도입률이 뚜렷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리플의 보고서에서 금융업체들의 블록체인 도입률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뭐라 보시나요?
우선 금융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 실익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가 아닌가 싶습니다. 예를 들어 리플의 ODL(구 xRapid)을 기반으로 국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머큐리 FX의 경우 리플사의 솔루션을 활용하여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기존의 SWIFT를 활용한 송금보다 훨씬 빠른 송금이 가능하고 비용도 40%~70% 정도 줄일 수 있다고 밝힌 바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기존의 금융 업체가 안고 있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뱅크 사인과 같은 은행권 블록체인 기반 공동인증서비스를 이용하면 공인인증서 하나로 여러 은행을 이용하기가 지금보다 편리해지고 유효기간이 3년으로 늘어나며 인증서 발급이 무료가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비대면 자격 검증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에 대출 심사를 위한 각종 서류를 은행이 직접 각종 기관에 요청하여 열람할 수 있게 되므로 서류를 제출하고 제출받기 위해 영업점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한 과정이 사라지고 해당 서류의 진위 여부 판별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대출 심사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줄어들고 더욱 정확한 대출 심사가 가능해짐으로써 부실 대출 위험이 줄어들게 되고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도 증가되게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렇듯 금융 업체들이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될 경우 금융 회사는 물론이고 고객들에게도 상호 이익이 되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의 도입률이 높아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기업의 입장에서 가장 많은 소모비용을 유발시키는게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인건비입니다.
그러나 블록체인등을활용해서 DeFi(탈중앙화 금융)시스템을 도입 하게 되면 획기적으로 인건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굳이 애널리스트같은 금융 중개인을 둘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죠~
그런 금융 중개인을 고용할 비용으로 오로지 고객을 모셔올 수 있는 마케팅에만 집중을 할 수 도 있기 때문에 가장 선호하는 비율이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또한 그러한 사람에 의해 일어나는 금융사건사고도 상당 수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금상첨화죠~
금융업체에 블록체인이 도입되는것은 일반 기업으로 따지면 한마디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는것과 동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