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2.06

독립운동 단체들은 왜 만주에서 활동했나요?

1930년대를 보면, 봉오동전투, 청산리 전투 등을 보면, 대부분의 독립운동가들이 만주에서 활동했는데,

일본이 한반도를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반도에서 활동을 하지 않고, 외국인 중국의 만주에서 활동을 한 이유가 무엇입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미 우리나라 내부에서는 일본군으로 하여금

    독립운동은 거의 불가능 하였습니다.

    발각의 염려가 크고 나라가 좁은 이유여서 그렇ㅈ습니다.중국역시 일본으로 하여금 피해를 받고 있었씀으로 독립군의 관리에 소홀했으며 피해 있을 곳이 많은 만주에서 빼앗긴 나라를 찾기위해 준비를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독립운동은 일본의 식민지배를 종식시키기 위한 일련의 정치·사회적 운동이었습니다. 일본의 지배를 받던 중국 동북부의 만주가 주 활동지였습니다.

    한국독립운동이 만주에서 활동한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습니다.

    첫째, 만주는 대규모 한인 사회의 본고장으로, 한인 민족주의 사상이 확산되고 독립운동이 성장할 수 있는 비옥한 토양을 제공했습니다. 둘째, 만주는 일본제국의 요충지였으며, 독립운동가들은 만주를 중요한 활동대상으로 삼았습니다.

    또 다른 이유는 일본 당국이 더 중요한 식민지로 여겨지는 한반도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는 데 더 집중하고 독립운동가들에게 상대적으로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한 만주에 대한 경계가 덜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만주는 일본을 오가는 한국인들의 편리한 환승지였으며, 독립운동가들은 이를 이용하여 보급품과 통신장비를 밀반입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31년 일본이 만주를 침략하여 '만주국'이라는 나라를 세웠다고 합니다. 일본이 만주를 차지하자 그 곳에서의 독립 운동은 점점 어려워졌지요. 당시 상하이에 머물고 있던 이회영은 만주의 일본군 사령관을 처단하고 그곳에 활동 근거지를 마련하기 위해 만주로 가기로 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 강점기때에 독립 운동가들이 만주로 모인 이유로는 일본이 통치하고 있는 대한민국에서는 조직을 만들기가 쉽지 않고, 만들었다해도 위태하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만주에는 이미 조직화된 독립 운동 단체가 있었기 때문에 조선의 독립을 희망하는 사람들이 만주로 모였던것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