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3.02

현재 우리가 보는 자연상태의 빛은 빅뱅 때 만들어진것인가요?

현재의 우리가 볼 수 있는 자연상태의 빛은(배경복사) 우주가 시작됐던 시기인 빅뱅 때 만들어진 것을 지금까지 보고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는 관측가능한 영역너머에 우주시공간이 빛보다 빠르게 팽창하고 있으므로, 우리가 보고있는 우주배경복사는 빅뱅직후가 아닌 빅뱅이후 38만년 후의 빛이 사방으로 퍼진것을 전파형태로 보고있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볼 수 있는 자연상태의 빛은 우주가 시작됐던 시기인 빅뱅 때 만들어진 것입니다. 우주가 탄생한 이후부터 현재까지 빛은 계속해서 우주 공간을 여행하며 우리가 볼 수 있는 모든 물질과 천체들에 반사하고 투과하며 전파되어 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현재 볼 수 있는 우주의 배경복사는 빅뱅 이후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빅뱅 이후 약 38억 년이 지난 현재까지 우주의 확장과 함께 전파가 퍼져나가며 우주 공간을 채우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현재 볼 수 있는

    자연 상태의 빛 중 일부는

    빅뱅 직후 발생한 빛입니다.

    모든 빛이 빅뱅 직후 발생한 것은 아닙니다.

    생한 뜨거운 에너지는

    팽창하는 우주를 통해 점

    차 식으면서 현재는

    전자기파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를 우주 배경 복사라고 합니다.

    우주 배경 복사는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온다.

    파장이 매우 길고 온도가 매우 낮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주 배경 복사는 1965년 Arno Penzias와 Robert Wilson에

    의해 처음 탐지되었습니다.

    빅뱅 이후 형성된 별과 은하에서

    나오는 빛은 빅뱅

    직후 발생한 빛이 아닙니다.

    별은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고 빛을 방출

    합니다. 이 빛은 빅뱅 이후 발생한 빛입니다.

    은하는 수많은 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은하에서 나오는 빛

    은 별빛의 합성입니다.

    별과 은하에서 나오는 빛은 다양한 파장을 가지고 있으

    며 이를 통해 별과 은하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빛은 진공에서 초당 약 30만 킬로미터의

    속도로 이동합니다.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빛의 원천까지의 거리에

    비례합니다.

    먼 거리에 있는 천체의 빛을 관찰하면

    과거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볼 수 있는 빛은 빅뱅 직후 발생한

    빛과 빅뱅 이후 발생한 빛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빛의 원천까지의 거리를 알면 빛이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과거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자연상태의 빛 중 일부는 빅뱅 직후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우주 배경 복사(CMB)입니다. 하지만 모든 자연상태의 빛이 CMB가 아니며, CMB는 빅뱅 이후 만들어진 다른 빛과 구분하기 어렵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보는 빛은 태양에서 나오는 빛으로 태양에서 보내진 빛이 사물에 반사되어 보이는 것 입니다. 태양은 계속해서 빛을 내고 있으며 현재 보는 빛은 태양과 지구의 거리만큼 및이 이동된 거리와 시간 입니다. 빅뱅의 빛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