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9.11

어른들이 음식을 던지면서 '고시레'라고 부르는 이유?

어른들이 음식을 던지면서 '고시레'라고 부르는 이유?

흔히 어른들이 "고시레"하시며 음식물을 던지는것을 본적이있어요. "고시레"의 의미와 어원이 어떤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시골 농부가 논둑에서 식사를 할 때나 사람들이 소풍이나 야유회를 가서 음식을 먹기 전 밥이나 술을 던지며 고시레하고 외치는 관습이 있습니다. 고시레 관습이 생기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있습니다.

    옛날 충청도 당진 땅에 고씨 성을 가진 늙은 홀아비가 살았습니다. 가난한 살림에 손바닥만한 논을 가졌을 뿐인데, 그나마 그 땅이 비가 조금만 와도 수해를 입고 며칠만 비가 안 와도 한해를 입는 박토여서 굶기를 밥먹듯 하였습니다. 그래서 고씨는 곡식을 심어놓고 어서 자라기를 기원하였지만 가뭄이 계속된 어느 해 애써 가꾼 곡식이 메말라가는 것을 보다 못해 바가지로 아랫논에서 물을 퍼올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노쇠한 몸에 제대로 먹지도 못하는 고씨 노인에게 힘이 있을 리 없어 결국 지쳐서 쓰러져 죽고 말았습니다.

    고씨 노인은 죽은 며칠 후 마을 사람들에게 발견되어 고씨네 논이 바라다 보이는 건너편 산허리에 묻혔습니다. 그 후 한 마을에 살던 전서방이 논둑에서 점심을 먹으려고 첫 숟가락을 뜨는 순간 산허리에 고씨네 무덤이 보이는 것이었습니다. 전서방은 한평생 일만 하고 고생하다 먹지도 못하고 죽은 고씨가 불쌍해 고씨네~ 하고 이름을 부르며 첫 숟가락의 밥을 무덤을 향해 던졌는데, 이 때문인지 전서방네 농사는 다른 해보다 갑절 잘 되었고, 이 사실을 전해들은 마을 사람들은 논이나 밭에서 음식을 먹을 때는 먼저 고씨네 하고 첫술을 던졌는데 그렇게 한 사람은 모두 풍년이 들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가 널리 퍼지며 고씨네~ 하는 말이 고시레로 변하여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