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

하늘에는 태양이 있어 하늘이 붉어야 하는데 왜 파란가요?

하늘에는 태양이 있어 하늘이 붉어야 하는데 왜 파란가요?

하늘에는 낮에 태양이 떠 있어 하늘의 색은 붉은 색 아니면 노란색 주황색 등 이어야 하는데 왜 파랑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하늘이 파란색인것은 빛의 산란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지구로 오면서 대기의 여러 물질에 의해 굴절되고 산란 됩니다.

    눈으로 보이는가시광선의 색중에서 파란색 계열은 파장이 짧아 지표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하늘에서 모두 산란되어 하늘에 퍼지게 됩니다. 하여 우리눈에 보이게 됩니다.

    나머지 색은 파장이 길어 지표까지 도달하게 되어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빛이 대기를 통과하며 빛이 산란됩니다

    이때 파장이 짧은 파란색이 더 많이 산란되아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겁니다

  • 빛의 굴절, 산란 때문 입니다.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가 태양의 빛과 부딪칠 때,여러 빛으로 분산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이나 보라색 계열의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이것을 흔히 빛의 산란효과라고 합니다. 수많은 태양빛이 지구로 향해오는데 두꺼운 대기층을 뚫고 여러요소를 통해 산란이 되는데 그중에서 파란색이 제일 산란이 잘되어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산란된 빛 중에 우리 눈에 가장 쉽게 들어오는 것이 파랑색입니다. 그리고해가 질 때 가끔씩 빨갛게 보일 때는 파란색보다 빨강이 더 산란이 잘되어서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많은 빛의 색과 전파들이 섞여있는 태양빛이 두꺼운 지구 대기를 뚫으면서 대기의 공기분자 및 원자들에 부딪히고, 반사 및 산란이 일어납니다.


    이 중에서 푸른색 빛만이 대기를 뚫고 우리눈에 도달하여 파란색으로 보이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형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현상 때문입니다.

    우리 눈은 태양빛 중에서 가시광선 영역만을 볼 수 있습니다. 가시광선은 대기를 통과하면서 대기중의 질소, 산소분자 등에 의해 산란이 됩니다. "산란"이란 대기중의 작은 알갱이들이 빛을 흡수하여 사방으로 다시 방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기의 산란정도는 빛의 파장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집니다. 여기서 파장이란 파동의 마루와 마루 사이의 거리를 말하는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붉은색 빛의 파장이 가장 길고,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 순으로 갈수록 짧아집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강하게 일어나므로(레일리산란) 낮에 파장이 짧은 청색 빛이 산란이 일어나 대기는 청색 산란광이 지표에 가장 많이 도달하며,

    대기의 광학적 두께가 깊어지는 아침과 저녁에는 파장이 짧은 영역의 청색 빛은 대부분 산란되어 버리고 장파장 영역이 빛이 지표에 많이 도달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부탁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며 산란하기 때문입니다.

    대기를 통과한 태양빛의 짧은 파장의 빛은 말씀하신 붉은색이나 노란색보다 더 많이 산란되게 됩니다.

    짧은 파장의 빛이 바로 푸른색이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원래 대기는 색깔이 없습니다. 지표면에서 보이는 하늘이 파란색인건 햇빛이 지구에 들어오면서 대기권에서 산란 및 반사되면서 파란색으로 보이게 되는것입니다. 즉 대기의 색깔이 아니고 빛에 의한 효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