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무지개가 반원모양으로 생기는 원리가 뭔가요?
비가온뒤 생기는 무지개는 반원의 모양을 하고 있는데요.
어떤이유로 직각이나 일자 모양이 아닌 반원모양으로 생기는지 궁금학니다.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본래 원형입니다.
실제로 구 모양인 물방울의 표면 전체로 들어간 햇빛은 물방울 안에서 굴절하고 또 파장별로 다르게 진행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입체 물방울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은 입체인 둥근 띠 모양의 원이 되며 이때 빨간색 빛은 중심각이 42°인 원 모양, 보라색 빛은 중심각이 40°인 원 모양으로 퍼져 나오므로 이들이 합해져 둥근 띠 모양의 무지개가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나머지 부분이 지표면으로 가려지기 때문에, 그리고 우리가 보는 방향이 한 면이기 때문에 반원의 평면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만일 높은 하늘에서 무지개를 보게 된다면, 무지개의 모양은 둥근 띠 모양으로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반원모양으로 생기는 이유는, 무지개가 보이는 부분은 물방울과 태양, 관측자가 이루는 각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 각도가 42도일 때 가장 밝고 선명한 무지개가 보이는데, 이 때 무지개가 지표면에 수직인 평면에서만 보이기 때문에 반원형태로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