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상승기류
상승기류
23.08.08

천왕성,해왕성은 목성,토성과 달리 왜 푸른색일까요

안녕하세요

찬왕성,해왕성은 목성이나 토성과 달리 왜 푸른색일까요...

같은 가스형 행성인데 색깔이 차이나는 것은 무엇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23.08.08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천왕성과 해왕성의 대기는 메탄과 같은 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대기 구성 때문에 햇빛이 해당 행성의 대기에 들어오면 빨간색과 주황색 빛이 흡수되고, 파란색과 녹색 빛이 반사되어 우리가 볼 때 푸른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반면, 목성과 토성은 대기 구성이 천왕성과 해왕성과는 다릅니다. 이들 행성은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기에서는 빨간색과 주황색 빛이 반사되고, 파란색과 녹색 빛이 흡수되기 때문에 목성과 토성은 주로 노란색과 갈색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목성과 토성과 달리 푸른색을 띠는 이유는 대기 중의 메탄 때문입니다. 메탄은 태양빛을 흡수하고, 그 중 파란색 빛을 가장 많이 흡수합니다. 따라서 천왕성과 해왕성의 대기에서 파란색 빛이 가장 많이 남게 되고, 이로 인해 푸른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를 이루는 기체 성분 중 메테인 가스가 많아서 지구에서 봤을 때 푸른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천왕성과 해왕성은 푸른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주로 그들의 대기 구성물과 광학적 특성 때문입니다.

    1. 대기 구성물: 천왕성과 해왕성은 목성과 토성에 비해 더 얇은 구성물을 가진 가스 행성으로서,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천왕성과 해왕성은 수소와 헬륨 외에도 메탄, 아마몬리아, 수성 등의 다른 가스들도 존재합니다. 특히, 메탄은 천왕성과 해왕성의 대기에서 더 많이 발견되며, 이 메탄 분자가 빛을 산란시키면서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2. 햇빛 산란: 태양에서 발생한 햇빛은 천체의 대기와 상호작용하여 산란됩니다. 수소와 헬륨은 주로 빨간색과 오렌지색을 산란시키지만, 메탄은 파란색을 산란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천왕성과 해왕성의 대기에 많은 메탄이 존재하기 때문에 파란색을 띠게 됩니다.

    3. 대기층 구조: 천왕성과 해왕성의 대기층 구조는 목성과 토성에 비해 다양하며 복잡합니다. 이로 인해 빛의 흡수와 산란이 다르게 이루어지며, 이것도 푸른색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모든 행성은 자신만의 대기 조성과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고유한 색상을 갖습니다. 천왕성과 해왕성은 푸른색으로 눈에 띄게 보이는 행성들 중 두 가지로, 메탄의 존재와 햇빛 산란 등이 이러한 색상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천왕성이나 해왕성에는 빛을흡수한 뒤 푸른색을 내뿜는 특성을 가진 메탄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