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진 유리의 옆면은 왜 녹색인가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1입니다
깨진 유리의 옆면을 유시미 보면
녹색빛이 보이던데 왜그런건가요?
정면에서는 아무리봐도 안보이는데요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깨진 유리의 옆면이 녹색으로 보이는 현상은 "유리의 혼광(Haidinger's Brush)"이라고 불리며, 광학적인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유리의 결정 구조와 결정 방향에 의해 발생합니다.
유리는 약간의 철분 또는 다른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순물은 유리의 결정 구조와 결정 방향에 영향을 미치며, 유리의 두께와 관찰 방향에 따라 광학적인 현상이 발생합니다. 유리를 광선으로 비추면, 광선이 유리의 결정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광선이 녹색으로 비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깨진 유리의 옆면에서 발생하는 이유는 유리가 광학적인 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결정 방향으로 깨져서, 해당 방향으로 녹색 혼광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깨진 유리의 옆면이 색을 가지는 현상은 광의 산란(Scattering)에 의한 것입니다. 유리와 같은 투명한 물체를 빛이 지나가면, 빛은 직진하지 않고 물체의 분자와 상호 작용하여 여러 방향으로 산란됩니다. 이 때, 산란되는 빛의 파장이 더 짧아져서 보통 파란색 또는 녹색을 띄게 됩니다. 이렇게 광의 산란이 일어나면 깨진 유리의 옆면에서 색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깨진 유리의 옆면은 표면이 거칠어져 있어서 빛이 부드럽게 투과되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산란됩니다. 이것도 색을 띄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깨진 유리의 옆면에서 색이 생기는 것은 빛이 유리 내부를 지나가면서 산란되고, 그 산란된 빛이 다시 유리의 표면에서 산란되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굴절률이 큰 초록색 빛이 붉은색 빛보다 전반사를 더 잘하기 때문에 책상 유리를 측면에서 보면 초록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깨진 유리의 옆면에서 녹색빛이 보이는 것은 광의 굴절 현상 때문입니다. 근처에 있는 빛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선은 깨진 유리의 표면을 만나 굴절하게 됩니다. 이 때 광선은 여러 개의 방향으로 분산되어 산란되는데, 이 산란된 광선 중 파장이 짧은 녹색빛이 다른 파장의 광선보다 더욱 강하게 산란되어 시야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