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23.07.21

땅에 사는 개미는 뇌를 가지고 있나요?

베르나르베르베르의 작품 개미를 보면 개미가 인간이 못하는 암을 정복하는 등 기발한 사건들이 전개되는데, 우회적 역설적인 방법으로 재미있는 논픽션으로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하였는데, 실제로 개미들은 땅을파고 집단으로 조직사회를 이루며 살고있는데, 이렇게 우수한 개미가 뇌가 있을 법도 한데 개미는 진정 뇌를 가지고 있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당연히 개미도 뇌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인간의 뇌처럼 다양한 기능과 작용을 하는 형태로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라 간단한 생리적인 기능과 행동을 조절하는 정도의

    수준으로 몇개의 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답니다.

    하지만..말씀하셨듯이..개미들은 협력하여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고, 식량을 찾고, 보급하고,군집 활동을 형성 하는 것을 보면

    사회적인 행동 능력은 탁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행동을 보면..개미의 뇌가 각각 기능이 우수하게 발달되어 있다기 보다는 개미 사회 전체가 서로 연결되고 상호 작용하면서

    이러한 능력을 발휘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질문하신 것 처럼 개미도 뇌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미의 뇌는 작은 몸집에 비해 전체 차지하는 비중이 6프로에 달하는 뇌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몸집대비 가장 큰 뇌를 지니고 있다. 뇌가 몸무게의 6%를 차지한다. 인간의 뇌는 몸무게의 2%를 차지한다고 한다. 개미의 지능은 그 뇌 크기만큼이나 우수하지만, 개체별로 똑똑한 개미와 그렇지 않은 개미가 있다. 그렇다고 지능이 우수한 개미들만 따로 모이는 것은 아니며, 의외성을 기대하기에 개체별로 차별을 두지 않고 섞어서 지낸다고 한다. 게다가 좌뇌와 우뇌조차 다르게 쓴다. 이런 점은 인간사회와 유사하다. 또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간 군상과 별반 다르지 않은 고도의 권력쟁탈전까지 벌어진다 한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개미의 몸무게의 6퍼센트가 뇌의 무게일정도로 큰 뇌를 가지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도 물론 뇌를 가지고 있습니다.

    뇌세포가 대략 25만개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개미는 태어날 때 뇌에 계급이 박혀서 나온다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도 뇌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미의 뇌는 머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개미의 뇌는 개미의 크기에 비해 매우 크고 복잡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땅에 사는 개미들은 작지만 뇌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미의 뇌는 그 크기에 비해 상당히 복잡하며, 다른 뇌 구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신경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개미의 뇌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조절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개미의 뇌는 식량 수집, 길 찾기, 소셜 인터랙션, 통신 및 명령 실행 등과 같은 복잡한 행동을 조정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처리합니다.

    또한, 개미들은 뇌를 통해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적절한 행동을 취할 수 있습니다. 개미는 환경에서의 신호를 감지하고, 뇌를 통해 이러한 신호를 해석하여 생존과 번식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결정합니다.


  • 개미들은 진정한 뇌를 가지고 있는 유기체입니다. 그러나 개미의 뇌와 인간의 뇌는 구조와 기능이 매우 다릅니다. 개미의 뇌는 상대적으로 간단하지만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방식으로 개체의 특성과 생존 전략에 적합하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개미의 뇌 구조는 중추신경계를 형성하는 두 개의 뇌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나는 머리에 위치한 두개뇌(hemispheres)이고, 다른 하나는 가슴에 위치한 부종뇌(ganglia)입니다. 두개뇌는 시각, 냄새, 촉각 등의 정보를 처리하며, 부종뇌는 신경망을 통해 다리와 몸의 운동을 제어합니다.

    개미들은 간단한 개별 행동을 반복하면서도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고 조직적인 행동을 수행합니다. 개미들은 향기를 통해 음식의 위치를 찾고, 복잡한 냄새 지도를 이용하여 먹이를 모으기도 합니다. 또한 특정 장소로 돌아가기 위해 햇빛이나 지구 자기장과 같은 환경 정보를 활용합니다. 또한, 개미는 군집적으로 조직사회를 형성하여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협력하여 먹이를 구하거나 보금자리를 유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