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팔팔한파리매131
팔팔한파리매131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가 어른들보다 어린이가 많이 있나요?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가 혀에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겠지만, 유아기 잘 먹던 아이들 중 일부가 식사시간에 음식투정을 하는 이유는 어른들보다 미각세포가 혀 뿐만아니라 입안전체에 있어서 그렇다는데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들의 미각 세포가 입안 전체에 있다는 사실은 처음 듣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은 점 점 커갈수록 다양한 음식을 맛보게 되므로 점 점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으로 나뉘게 되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음식을 투정하는 이유는 푸드 네오포비아 때문 입니다.

    푸드 네오포비아란> 낯선 음식에 대한 두려움을 말합니다.

    단순히 새로운 음식을 꺼리는 정도가 아니라 공포심에 의한 강박현상, 신체반응 까지 일어나는 정도를 일컫는 것입니다.

    만2~5세까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맛을 느끼게 하는 맛봉오리가 혀에 있는데 아이들은 어른에 비해 이 맛봉오리가 3배 이상 많기 때문에 맛에 대해 민감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렸을 때 편식을 하던 아이들도 커가면서 편식이 사라지는 경우가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아직 성인처럼 미각이 고르게발달하지 않은상태이기에

    성장하면서 이러한 입맛이 조금씩 달라질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미각은 변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아이가 음식 투정을 하는 이유는 밥 보다 더 맛있는 것들을 알게 되버려서 맛있는 과자나, 빵이나, 아이스크림 때문에

    음식 투정을 하는 것이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약 1만개의 미뢰를 가지고 태어나는데 이는 성인의 3배에 해당되는 것으로 미뢰가 많으면 채소의 쓴 맛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미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미뢰의 수가 성인에 비해 많이 분포되어 있고

    성장해 나감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남아있게 됩니다.

    아이들이 커가면서 점점 다양한 맛을 경험하게 되고 선호하는맛이 생기면서

    기존의 음식을 거부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맛을 느끼는 미각세포는 혀 뿐만 아니라 입안 전체에 존재해요.

    그러나 아이들이 식사 시간에 음식을 거부하는 이유는 미각세포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어요.

    아이들은 성장과 발달 과정에서 식욕이 갑자기 줄어들거나 새로운 음식에 대한 두려움이 생길 수 있으며

    냄새나 색상 또는 질감 등을 통해 음식의 맛을 판단하기 때문에 이러한 요소가 부적절하거나 불안정한 경우에도

    식사 거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