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8.10

무거운 배는 어떻게 물에 뜨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배는 철로 만들어서 무척 무거운데요

사람도 물에서 가라앉는데 배는 왜 물에 뜨는 건가요??

그리고 나무도 무게가 무거운데 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배를 띄우는것은 부력이 작용하기 때문인데 배 밑에 공간을 많이둬서 극대화하여 물에 뜨도록 만들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부력 때문입니다.

    부력이란 액체가 물체를 위로 밀어 올리는 힘인데, 배의 내부에 빈 공간을 많이 두어서 밀도가 작은 공기로 가득 차면 무게에 비해 부피가 매우 커지면서 밀도는 작아지게 되고, 배 전체의 밀도가 물의 밀도보다 작아져 배가 물에 뜨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배가 물에 뜨는 것은, (당연한 얘기지만) 배가 물보다 가볍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사기그릇은 흙반죽으로 만들어졌지만 설거지할 때 보면 이것 역시 물에 잘 뜹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바로, 부피와 밀도의 마술 때문이지요~! 아무리 덩치가 큰 물체라도, 물체의 무게를 그것의 부피로 나눈 '평균밀도'가 물의 평균 밀도인 약 1000kg/㎥보다 작으면 그 물체는 물보다 '가볍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배를 만드는 쇳덩어리는 같은 부피의 물보다 약 7.8배 무거워 그 상태로는 물에 가라앉게 되지만, 배처럼 속을 비워 그릇모양으로 만들어 주면 얼마든지 물보다 가볍게(밀도가 물보다 작게) 만들 수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배가 물에 뜨는 원리는 모두 동일합니다.

    부력에 의한것으로 부력보다 무게가 작으면 물에 뜨게 되어 있습니다.

    배의 총 밀도를 변화시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면 배가 물에 잠기는 부피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물체가 물에 뜨는 원리는 아르키메데스 원리라고 불리는 물리법칙에 기반합니다. 아르키메데스 원리는 "물체가 담긴 액체나 기체 중에서 상체에 작용하는 부력은 밀림의 체적과 같다"는 원리를 나타냅니다. 이 원리에 따라, 물체의 체적에 비례하는 부력이 물체에 작용하게 됩니다.

    물체가 물에 뜨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부력 발생: 물체가 액체나 기체에 담긴 상태에서는 그 물체의 체적에 비례하는 부력이 작용합니다. 부력은 물체가 밀림의 양을 액체나 기체와 밀림의 밀도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무게와 부력 비교: 물체의 무게와 부력을 비교하게 되면, 만약 물체의 부력이 물체의 무게보다 크다면 물체는 액체의 표면 위나 액체 안에서 뜨게 됩니다. 부력이 무게와 같아질 경우 물체는 고정된 깊이에 위치하게 되며, 부력이 무게보다 작아지면 물체는 가라앉게 됩니다.

    3. 부력과 중력의 균형: 물체가 액체의 표면 위나 안에 위치할 때, 부력과 물체의 중력(무게)이 균형을 이룹니다. 이 균형 상태에서 물체는 물면 위나 물체가 위치한 액체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떠 있거나 물체가 침수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합니다.

    즉, 무거운 배도 부력이 물체의 무게보다 큰 경우에는 물에 뜨는 것입니다. 배의 체적이 클수록 부력도 커지므로, 대형 배가 물에 뜨는 것이 가능한 것입니다. 이와 함께 배의 모양, 무게 분포, 중력 중심 위치 등도 부력과 물체의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배가 물에 뜨는 이유는 배의 부력이 배의 무게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부력은 물에 잠긴 물체의 무게와 같은 크기의 위로 향하는 힘입니다. 배는 철로 만들어져 있지만, 내부에는 공기가 들어 있습니다. 공기는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배의 부력은 배의 무게보다 커집니다. 따라서 배는 물에 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철로 만든 배와 나무로 만든 배가 물위에 뜨는 이유는 배의 무게보다 배가 차지하는 공간이 더 크기 때문입니다. 배는 철이나 나무로 만들어져 있지만, 그 안에 공기가 들어 있습니다. 공기는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배는 물 위에 떠 있게 됩니다.


    배가 물위에 뜨는 것을 부력이라고 합니다. 부력은 물의 압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물의 압력은 물의 깊이에 따라 증가합니다. 따라서, 배의 바닥은 물의 압력이 더 높기 때문에, 배는 위로 밀리게 됩니다. 이 힘이 배의 무게를 지탱하여 배가 물위에 뜨게 됩니다.


    배가 무거워지면 배가 물에 가라앉게 됩니다. 배가 가라앉는 것을 침수라고 합니다. 침수는 배의 무게가 부력보다 커지면 발생합니다. 배의 무게를 줄이거나 배가 차지하는 공간을 늘리면 배는 물위에 뜨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무거운 배가 물에 뜨는 것은 아치메데스의 원리에 기반합니다. 아치메데스의 원리는 "물에 잠긴 물체는 상위로 밀려나는 부력을 받는다"라는 원리입니다.

    배는 물에 잠기는 물체이므로, 배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만큼의 부력을 받게 됩니다. 이 부력은 배의 무게와 같은 크기이지만, 반대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만약 배의 무게가 부력보다 크다면, 배는 물에 가라앉게 됩니다. 하지만 배의 무게가 부력보다 작다면, 부력이 배를 위로 밀어 올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배는 물 위로 떠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고기는 뱃속에 부레가 있어서 부레의 공기를 빼고 넣는 식으로 떠오르곤 합니다. 배에도 부레와 같은 공기실이 있습니다. 이것이 부력을 만들어서 물에 뜨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나 쇠로 된 배가 뜨는 원리는 부력 때문입니다. 부력은 물에 잠긴 물체를 위로 밀어 올리는 힘입니다. 부력의 크기는 물체가 잠긴 물의 부피에 비례합니다. 쇠로 된 배는 물이 밀어 올리는 힘이 그 무게보다 커서 물 위에 뜨게 됩니다.


    쇠는 물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쇠로 된 배는 물에 가라앉을 것 같지만, 배는 둥근 모양을 하고 있어 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배에 물이 많이 들어오면 배의 무게가 커져서 물에 가라앉게 됩니다. 이때 배는 침몰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배는 물에 둥둥 떠있는데, 이는 배의 체적(부피)이 물의 부피와 일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배가 물에 둥둥 떠있는 상태에서도 배의 무게와 물의 부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죠

    배의 하단부에서 가해지는 물의 압력은 배의 위쪽 부분에(즉, 배 전체의 무게*중력) 가해지는 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배 밑으로 부력이 작용하게되고 이 부력은 배의 무게와 상쇄되어 배를 물위에 떠있게 하는 것이죠

    만약, 이런 부력이 배의 중량과 중력보다 작다면 배는 가라앉게 될 것인데..

    예를들어, 부피가 거의 없는 철판은 단순 너비와 중량만 있기에 부력보다 더 크게 작용하여 이내 가라앉을 겁니다.

    이렇게, 부력의 원리를 기반으로 배는 뜨게되며, 배의 크기와 형태,무게,물의 밀도등이 부력과 중력의 균형을 결정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