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페퍼민트
페퍼민트
23.07.29

아리랑은 어느 시기때부터 만들어져서 불러졌나요?

한국의 전통적인 민요중 하나이며, 현대인들도 다들 알고있는 아리랑은 어느 시기에 만들어졌으며 불러지게되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7.2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리랑의 기원은 아주 오래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영어 간행물인 『KOREA Repository』의 1896년판에서 Homer B. Hulbert가 쓴 기사에는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기원전 69년~4년)가 알영정에서 용으로 태어난 아내 알영을 기리는 노래를 만들었는데, 알영에서 ‘아리랑’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구전으로 전해오는 아리랑은 전국 각지에 서로 다른 여러 아리랑으로 불려저 오고있습니다.

    본조아리랑, 진도아리랑, 해주아리랑, 밀양아리랑, 정선아리랑 등등이 있습니다.

    입으로 전해오던 노래의 특성상 정확한 작곡 시기나 작곡가는 알려져있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리랑은 역사적으로 여러 세대를 거치며 한국의 일반 민중이 공동 노력으로 창조한 것으로, 즉 구전으로 전승되고 재창조되어왔으며, 지역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그 유래나 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수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리랑의 기원설과 전설들은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공사와 관련된

    아리랑에 나타나는데,『매천야록(梅泉野錄)』에 고종이 궁중에서 아리랑을

    즐겼다고 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대원군 · 고종 때 당시 서울에도 이미

    아리랑이 전해져 있었음을 알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리랑의 기원에 관해서는 사실 여러가지가 존재 합니다. 신라 건국시조 박혁거세가 왕비 알영을 찬미하여 "알영 알영"하고 노래를 부른 것이 뒷날 "아리랑 아리랑"으로 변했다는 견해가 가장 신빙성 있는 것중에 하나인데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왕조에 여자들이 길쌈짜기 내기 끝에 진 편에서 '회소곡'을 불렀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면(서기 32년) 그보다 조금 전 사람인 혁거세왕이라고 해서 노래를 부르지 않았을 리도 없을 터, '알영'과 '아리랑'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데에 착안한 알영설도 일견 그럴 듯하게 느껴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