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7.13

우리나라가 1960 ~ 70년 대에는 학교에서 급식을 했나요? 안 했나요?

tv에서 보면 가정이 어려운 학생들은 도시락을 싸 오지 못해 운동장에서 물로 배를 채웠다는 일화를 자주 들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그 시대에 학교를 다닌 어머니의 말씀을 들어보면 큼지막한 옥수수빵도 주는 등 먹을 것을 줬다는 말씀을 하시더라구요. 이렇게만 해도 물로 배까지 채우지는 않았을 것 같은데 혹시 당시 학교 급식 또는 간식 배급 상황이 어떠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7.1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학교급식법이 1980년대에 시행되었던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는 학교급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간식이라고 하면 우유 급식 정도였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우리나라는 1981년에 <학교급식법>과 <학교급식시행령>이 제정됐으며 초등학교 급식은 1993년부터 크게 확대되어 1998년부터는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습니다. 1998년부터 정책적으로 추진해온 고등학교 급식도 2002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03년을 기점으로 초중고 학교급식을 전면 실시하게 됐다고 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23.07.13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말기 근대화 이후 근대적 학교가 설립되고 나서 일부 학교에서 급식을 제공하는 수준이었으나, 6.25전쟁 이후 구호단체에서 분유나 우유죽을 나누어 주었고 보다 사정이 나아졌을 때 주로 빵과 우유를 제공했으며 이때의 급식은 본격적인 급식은 아니고 간식을 나누어주는 것에 가까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