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0

고려시대 무인들은 어떠한 이유로 반란을 일으키게 된 것인가요?

예전 사극드라마 무인시대를 오랜만에 다시 정주행 하고 있습니다. 약간의 허구들이 섞여있어서 조금 혼란스러운 장면들도 있는데 ,고려시대 무신정은 어떠한 이유로 일어나게 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10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신정변은 고려 귀족사회의 모순으로 고려 귀족사회는 귀족들이 정치적 권력을 독점하고 대토지를 겸병하는 등 경제적 실권을 장악하는 가운데 이를 둘러싼 지배층 내부의 항쟁이 야기되어 차음 동요되었고 문벌귀족들의 지배체제는 왕권과 결탁하려는 지방향리출신 신진관료의 성장을 제약했고 이는 다시 무반에 대한 차별로 연결되었습니다.

    고려의 문, 무반은 같은 양반관리로 단일 관계체계 안에 일원적으로 편성되어 법제적으로는 동등한 대우를 받게 되어있는데 실제 문반만이 귀족이 되어 정치권력을 독차지하고 군대를 지위, 통수하는 병마권까지 장악하는 한편 무반은 귀족 정권을 보호하는 호휘병의 지위로 떨어졌으며, 일반군인들은 전쟁시 , 평소에도 공역에 동원되는 등 고역에 시달렸고 전시과 체제의 문란으로 군인전도 제대로 지급받지 못해 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있었습니다.

    이러한 문,무의 차별대우에 대한 무신들의 불만과 일반군인들의 불만이 고조되는 가운데 의종의 반무신, 반유교적인 경향과 그의 실정은 정변의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신정권(武臣政權)은 고려시대 중기에 무신들에 의해 나라가 통치되던 시기 및 그 당시의 정권을 일컫는 말입니다.

    무신들은 문신에 비해 차별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보현원에서 무신정변을 일으켰고 기존의 고려를 지탱해온 문신들과 지배계층을 학살했다. 그리고 의종을 폐위한 뒤 명종을 옹립했고 정권을 차지하였다. 이후 숙청을 일으킨 무신들의 일가족과 친목파벌들이 돌아가면서 100년의 시간(1170년 ~ 1270년) 동안 고려를 통치하게 된다.

    종종 일본의 막부(바쿠후)와 비교되나 그 양상은 다르다. 일본의 막부 체제는 교토의 덴노가 유일한 군주이며, 이를 중심으로 하는 조정과 관직, 특히 제사와 종교를 중심으로 하는 기능은 그대로 두고 실질적으로 일본을 통치하는 막부라는 정부를 따로 만들어서 국가를 운영했다. 요약하면 덴노는 상징적인 국가원수, 실권은 막부의 쇼군이 가진 이원집정부제와 유사한 성격을 띄었다는 것. 반면 무신정권은 비록 국왕이 실권을 잃고 상징적인 존재로 격하당했다는 점은 일본과 같았을지라도 쿠데타로 조정을 장악하여 기존의 문벌귀족 중심 권력 체계를 뒤엎고, 무신들이 문신을 대신하여 중앙 정계를 장악하면서 세력 경쟁과 친목 정치를 벌였기 때문에 일본의 막부보다는 단순 군사정권의 성격이 강하다.

    한국의 무신정권과 굳이 비슷한 사례를 들자면 가마쿠라 막부 이전에 세워진 헤이케의 로쿠하라 정권이 무신정권하고 비슷했다. 하지만 로쿠하라 정권은 겐페이 전쟁을 겪으면서 지방세력이었던 미나모토 세력에 의해 끝내 무너지고 말았으며 미나모토 세력은 자신들의 본거지인 가마쿠라에 새롭게 막부를 설치하였고 따라서 일본은 기존의 무신정권체제가 붕괴되고 지방에 전혀 다른 형태의 무신정권인 막부로 교체가 된 것이었다. 한국도 강력한 지방세력이었던 조위총이 중앙의 무신정권에 도전했으나 결국 패배하여 중앙의 무신정권이 계속 유지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후 한반도 무신정권은 주인이 계속 바뀌기는 했지만 그 과정의 무대는 거의 대부분 개경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무신정권기는 그 시작부터가 쿠데타였으며, 이어진 무신들 간의 정권 교체 역시 암살과 숙청, 역모와 배신을 동반하는 혼란의 도가니였기 때문에 당시 사회에는 온갖 부정과 하극상의 풍조가 만연했고, 내정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외침에도 무방비했다. 이러한 상황은 귀족 신분제의 근간까지 뒤흔들었는데, 천민 출신으로 집권자가 된 인물 중 이의민, 김준 등이 있다. 다만 천민이 더러 껴있는 집단이 새로운 귀족 계급이 된 것이기 때문에, 만민평등을 추구하지는 않았다. 그래도 분명 사회적 분위기에는 영향을 끼쳐서, 노비 만적이 왕후장상에는 씨가 따로 없다는 것을 내세우며 만적의 난을 일으키기도 했다.

    출처: 나무위키 무신정권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고려 초부터 지속되어오던 무신들에 대한 정치적, 사회적 차별대우에서 비롯되었으며, 사실상 무신정변 이후 무신들이 토지, 노비 등을 적극적으로 취했다는 점에서 다분히 '경제적인 이유'에서 비롯된 정변이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