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총명한랍스타156
총명한랍스타15622.09.18

구름한점 없는 가을 하늘은 왜 파란색 일까요

가을의 문턱에 있는 요즘 구름한점 없는 가을 하늘을 보면 눈이 부실만큼 파란색을 띄고 있는데 우리나라 가을 하늘은 유독 파란색이 찐하게 느껴지는데 왜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18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는 덥고 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북상하여 한반도의 하늘을 덮고 있어 태양빛이 대기의 수분에의해 굴절되어 탁하게 보입니다. 하지만 가을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에 수분이 없어 빛의 굴절이 수분이 있을때보다 적게 나타나 대기에서 산란되는 파란색 계열의 빛이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높고 더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으로 부터 오는 많은 광선들이 우리 지구의 대기와 부딪히면서 산란됩니다.
    이 중 파란색이 우리눈에 들어와서 파란색이 보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고 진하게 보이는 것이죠. 우주에는 빛이 산란할만한 기체가 없는 진공 상태이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가을이 아니더라도 구름 한 점이 없는 경우에 하늘은 파란색입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빛의 굴절, 산란 때문 입니다.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가 태양빛과 부딪칠 때,여러 빛으로 분산됩니다.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이나 보라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