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수산기가 측정법(무수초산-피리딘법)에서 마지막에 물로 퀜칭
수산기가 측정법(무수초산-피리딘법)에서 마지막에 물로 퀜칭해서 무수초산(acetic anhydride)를 분해하면
초산 2개가 추가로 생성되는데
마지막에 KOH로 초산을 적정하게되면
결국 1. 샘플의 OH에 의해 분해된 무수초산이 생성한 초산
2. 물에 의해 무수초산이 분해되어 생성된 초산
두가지가 모두 KOH에 의해 적정되는데 물로 마지막에 퀜칭하고 측정된 적정값을 옳다고 믿는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권창근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수초산-피리딘법에서 물로 퀜칭 후 KOH로 적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무수초산-피리딘법은 무수초산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물로 퀜칭 후 KOH로 적정하는 과정에��� 무수초산(acetic anhydride)이 물과 반응하여 초산(acetic acid)을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초산은 KOH에 의해 중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수초산이 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초산과 샘플의 OH에 의해 분해된 무수초산이 생성한 초산 두 가지 모두 KOH에 의해 적정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무수초산-피리딘법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측정값을 옳다고 믿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수초산-피리딘법에서 물로 퀜칭하고 측정된 적정값은 정확하게 측정된 값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