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언어학이란 것이 왜 만들어진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말을 주고 받고는 의사소통만 되면 된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내가 느끼고 생각하고를 상대방에게 생략없이 잘 전달만 하면 언어가 된다고 생각하는데 언어학이란 왜 만들어진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언어가 어떤 원리로 발생하고 변화하며 쓰이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이 언어학 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인간이 "어떻게", 그리고 "왜"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지, 즉 "언어 능력"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언어학은 일반적으로 인문학으로 분류되지만 과학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꾸준한 논쟁이 있어왔습니다. 언어학계에서도 언어학을 과학으로 분류하고 과학으로서의 정체성을 갖추기 위해 노력한다고 합니다. 모든 언어학 교재에서 언어학의 정의에 "인간의 언어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문구가 빠지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특히 '관찰 → 가설 설정 및 수정 → 설명'에서 볼 수 있듯이 언어학의 방법론은 과학적 방법론을 빠릅니다. 예를 들어 , 영어와 한글은 어떻게 문법적인 구조가 다르기에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배우기가 어려운가? 하는 것도 언어학의 주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주어+ 동사+목적어등의 어순의 차이 라던가, 한국어에는 없는 영어만의 발음상의 특징 이라던가 한국어에는 없는 완료 시제의 특징 이러던지 기타 등등의 차이점을 연구 하는 학문이 바로 언어학인 것이지요. 언어는 의사소통만 가능 하면 된다는 것은 아주 기본적인 언어의 기능 중의 하나 일 뿐입니다.